반응형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526 껍질vs껍데기, 어떻게 다를까요? 문제 1번 달걀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 입니까? vs 2번 달걀 껍데기는 음식물 쓰레기 입니까? 1번? 껍질? 2번? 껍데기? 무엇이 옳은 표현일까? 함께 알아보자! ★껍질 발음[껍찔] 「명사」 「1」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하지 않은 물질. 귤의 껍질을 까다. 양파의 껍질을 벗기다. 이 사과는 껍질이 너무 두껍다. 늙은 호박은 겉껍질이 단단해서 우선 숟갈로 껍질을 박박 긁어 버린다.≪홍성원, 육이오≫ 내 손바닥은 껍질이 벗겨져 피가 말라붙어 있었고….≪황석영, 입석 부근≫ 「2」 화투에서, 끗수가 없는 패짝. =껍데기. 「3」 『물리』 원자 구조를 나타내는 모델에서, 원자핵 주변의 거의 같은 에너지를 가지는 전자 궤도의 모임. 원자핵에 가까우며 에너지가 낮은 쪽에서부터 ‘케이(K) 껍질, 엘(L) 껍.. 2022. 9. 12. 공염불, 무슨 뜻일까요? 문제: 공염불에 불과한 이야기는 이제 그만 하세요. 위의 문장에서 사용된 '공염불' 의 뜻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공염불 「명사」 「1」 신심(信心)이 없이 입으로만 외는 헛된 염불. 「2」 실천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이나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구염불. 공염불에 불과한 선거 공약. 아무리 좋은 말을 해도 그 사람에게는 공염불에 지나지 않았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공염불' 1. 신심이 없이 입으로만 외는 헛된 염불. 2. 실천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이나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구염불. '공염불' 이란 실천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 2022. 9. 8. 지양하다vs지향하다, 무엇이 다를까요? 문제 1번 평화를 지양한다. vs 2번 평화를 지향한다. 1번? 지양한다? 2번? 지향한다? 어떤 표현이 문맥상 옳은 단어일까? 함께 알아보자! ★지양하다 발음 [지양하다] 「동사」 【…을】 「1」 더 높은 단계로 오르기 위하여 어떠한 것을 하지 아니하다. 상업주의를 지양하다. 남북 사이의 이질화를 지양하다. 모든 사람들이 이 참된 자기에 살고 술책과 이기적 타산을 지양하고 사랑으로 맺어지는 날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합니다.≪김성한, 전회≫ 「2」 『철학』 변증법의 중요한 개념으로, 어떤 것을 그 자체로는 부정하면서 오히려 한층 더 높은 단계에서 이것을 긍정하다. 모순 대립 하는 일을 고차적으로 통일하여 해결하면서 현재의 상태보다 더욱 진보하는 일이다. ≒양기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 2022. 9. 4. 쇼루밍족, 무슨 뜻일까요? 쇼루밍족? 인터넷 글을 읽다가 처음 알게된 단어! 무슨 뜻일까? 함께 알아보자! ★쇼루밍족 상품 선택은 매장에서 하고, 실제 구매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하는 쇼핑족을 일컫는 신조어. ★Showrooming Showrooming is the practice of examining merchandise in a traditional brick-and-mortar retail store or other offline setting, and then buying it online, sometimes at a lower price. Online stores often offer lower prices than their brick and mortar counterparts because they do not hav.. 2022. 9. 3. 수군거리다VS수근거리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수군거리는 소리에 정신이 없었다. VS 2번 수근거리는 소리에 정신이 없었다. 1번? 수군거리다? 2번? 수근거리다? 무엇이 옳은 표현일까? 함께 알아보자! ★수군거리다 「동사」 【…을】【 -고】 남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낮은 목소리로 자꾸 가만가만 이야기하다. ≒수군대다. 애들은 별 재미도 없는 얘기를 수군거리며 낄낄대고 있다. 갱부들은 아무래도 금맥이 끊긴 거라고 수군거리곤 했었다.≪최인호, 지구인≫ 「비슷한말」 수군수군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수군거리다' 남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낮은 목소리로 자꾸 가만가만 이야기하다.=수군대다. 비슷한 말: 수군수군하다 주표제어: 수.. 2022. 9. 2. 케케묵다VS캐캐묵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케케묵은 물건을 정리하려고 한다. VS 2번 캐캐묵은 물건을 정리하려고 한다. 1번? 케케묵은? 2번? 캐캐묵은?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케케묵다 발음 [케케묵따] 활용: 케케묵어[케케무거]/ 케케묵으니[케케무그니] 「동사」 「1」 물건 따위가 아주 오래되어 낡다. 케케묵은 장롱. 자기의 아들딸들은 교회니 절간이니 교당이니 하는 케케묵은 집에 모여들어 가느다란 모가지를 빼 들고 장단도 안 맞는 노래를 부르다가는….≪김성한, 5분간≫ 「2」 일, 지식 따위가 아주 오래되어 시대에 뒤떨어진 데가 있다. 케케묵은 이야기를 꺼내다. 그는 사고방식이 너무 케케묵어서 요즘 젊은이들과는 대화가 되지 않는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2022. 9. 2. 잎파리vs이파리,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나무에 이파리가 많이 붙어 있다. vs 2번 나무에 잎파리가 많이 붙어 있다. 1번? 이파리? 2번? 잎파리?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 ★이파리 「명사」 나무나 풀의 살아 있는 낱 잎. 둥구나무 무성한 이파리마다 매미 소리가 물소리를 내며 쏟아지는데….≪최명희, 혼불≫ 학교 마당 둘레를 삥 둘러싼 포플러 이파리가 가늘게 흔들렸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비슷한말」 잎사귀 *어원 · ←잎+-아리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이파리' 나무나 풀의 살아 있는 낱 잎. 비슷한 말: 잎사귀 살아 있는 낱 잎, 잎 하나하나를 일컫는 말 '이파리' '잎' 이라서 '잎파.. 2022. 9. 2. 삼가다vs삼가하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통행을 삼가 주십시오. vs 2번 통행을 삼가해 주십시오. 1번? 삼가? (삼가다?) 2번? 삼가해? (삼가하다?)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삼가다 「동사」 【…을】 「1」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말을 삼가다. 어른 앞에서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아직까지는 그런 문제에까지 반감을 노출시키는 만용은 삼가는 게 좋을 것이며….≪김주영, 마군 우화≫ 「비슷한말」 각근하다(恪謹하다) 「2」 꺼리는 마음으로 양(量)이나 횟수가 지나치지 아니하도록 하다. 술을 삼가다. 문밖출입을 삼가다. 그는 건강을 위하여 담배를 삼가기로 했다. 외출을 삼가고 나는 아버지의 귀가를 기다렸는데….≪이동하, 장난감 도시≫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 2022. 8. 28. 두터운VS두꺼운,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겨울을 준비하기 위해 두터운 옷을 꺼냈다. VS 2번 겨울을 준비하기 위해 두꺼운 옷을 꺼냈다. 1번? 두터운? 2번? 두꺼운?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두텁다 「형용사」 신의, 믿음, 관계, 인정 따위가 굳고 깊다. 두터운 은혜. 신앙이 두텁다. 친분이 두텁다. 정이 두텁다. 두터운 교분을 유지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두텁다' 신의, 믿음, 관계, 인정 따위가 굳고 깊다. *참고 어휘: 도탑다 ★도탑다 「형용사」 서로의 관계에 사랑이나 인정이 많고 깊다. 우정이 도탑다. 신의가 도탑다. 형제간에 도타운 정을 나누었다. 손이 귀한 집에서 아들을 낳았.. 2022. 8. 28. 불리다vs불리우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 그 도로는 도깨비 도로라고 불리운다. vs 2. 그 도로는 도개비 도로라고 불린다. 1번? 불리운다? 2번? 불린다?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불리다 「동사」 1 【…에게】 「1」 말이나 행동 따위에 주의가 끌리거나 가게 되다. ‘부르다’의 피동사. 교무실로 선생님에게 불리어 갔다. 「2」 곡조에 맞추어 노래의 가사가 소리 내지다. ‘부르다’의 피동사. 많은 사람에게 불리는 노래. 이 노래가 요즘 아이들에게 가장 많이 불리는 노래이다. 2 이름이나 명단이 소리 내어 읽히며 대상이 확인되다. ‘부르다’의 피동사. 반 아이들의 이름이 하나하나 불렸다. 시상식에서 내 이름이 불렸을 때 나는 숨이 멎을 뻔했다. 3 【…에게 …으로】【 …에게 -고】 무엇이라고 가리켜 말해지거나 이름.. 2022. 8. 28. 흐리멍덩하다VS흐리멍텅하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어젯밤 과음을 했더니 오늘 내내 흐리멍덩하다. VS 2번 어젯밤 과음을 했더니 오늘 내내 흐리멍텅하다. 1번? 흐리멍덩하다? 2번? 흐리멍텅하다?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흐리멍덩하다 「형용사」 「1」 정신이 맑지 못하고 흐리다. 어제 과음을 했더니 오전 내내 정신이 흐리멍덩해서 일을 제대로 할 수가 없었다. 점심때가 지나고 해 질 녘이 되어도 외할머니는 여전히 잠에서 덜 깬 듯이 흐리멍덩한 상태로 중얼거리고 있었다.≪윤흥길, 장마≫ 「2」 옳고 그름의 구별이나 하는 일 따위가 아주 흐릿하여 분명하지 아니하다. 그는 일 처리가 흐리멍덩해서 상사에게 자주 꾸지람을 듣는다. 자기 자신은 흐리멍덩하게 살고 있지만 아들은 자기 자신과 같지 말기를 기원하는 마음이었던 것이다.≪최정희.. 2022. 8. 27. 고난이도vs고난도,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고난이도 동작을 소화하기 위해 날마다 연습한다. vs 2번 고난도 동작을 소화하기 위해 날마다 연습한다. 1번? 고난이도? 2번? 고난도?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고난도 발음 [고난도] 「명사」 어려움의 정도가 매우 큼. 또는 그런 것. 고난도 작업. 고난도 기술. 고난도의 액션 연기.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고난도' 어려움의 정도가 매우 큼. 또는 그런 것. 난이도가 높다. =고난도 앞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고난이도 동작을 소화하기 위해 날마다 연습한다. (X) vs 2번 고난도 동작을 소화하기 위해 날마다 연습.. 2022. 8. 27.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