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525

옹글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 손재주가 옹글어서 이것저것 잘 만든다. 옹글어서? (옹글다?) 무슨 뜻일까? 함께 알아보자! ★옹글다 발음 [옹글다] 활용 옹글어[옹그러], 옹그니[옹그니], 옹그오[옹그오] 「형용사」 「1」 물건 따위가 조각나거나 손상되지 아니하고 본디대로 있다. 거참 일본 적산 집을 차지할 땐 옹근 채로 차지했어야 되는 건데.≪황석영, 한 씨 연대기≫ 「2」 조금도 축가거나 모자라지 아니하다. 이 일을 하는 데 옹근 열흘이 걸렸다. 내 나이 벌써 옹근 마흔이다. 앞으로 남은 닷새 중에서 옹글게는 이틀밖에 자기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도무지 공부가 되지 않는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3」 매우 실속 있고 다부지다. 그의 말솜씨가 여간 옹글지 않다. 그녀가 나이는 어려도 누이 노릇은 옹글게 한다. 「비슷한말」 .. 2022. 8. 21.
어따vs얻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어따 두고 아직도 못 찾았어? vs 2번 얻다 두고 아직도 못 찾았어? 1번? 어따? 2번? 얻다?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어따 발음 [어따] 「참고 어휘」아따 「감탄사」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하여 못마땅해서 빈정거릴 때 내는 소리. 어따, 잔소리 좀 그만해. 어따, 영감님도. 시골 부자가 요새는 더 속이 실합니다.≪한수산, 유민≫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어따'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하여 못마땅해서 빈정거릴 때 내는 소리.\ ★얻다2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 나는 할머니가 돈을 얻다 감춰 두나를 알고 있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얼굴만은 얻다 내놓.. 2022. 8. 20.
구렛나루vs구레나룻,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그 연예인은 구렛나루가 참 멋지다. vs 2번 그 연예인은 구레나룻이 참 멋지다. 1번? 구렛나루? 2번? 구레나룻?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구레나룻 발음 [구레나룯] 「명사」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옷은 새것이었으나 수염을 못 깎으셔서 콧수염에 구레나룻까지 거멓게 자라 있더군요.≪이문열, 변경≫ 소년 두메는 시큰둥한 표정으로 그걸 한 번 보고 나서 구레나룻이 무성한 아비의 얼굴을 힐끔 살핀다.≪박경리, 토지≫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구레나룻'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철썩같이 '구렛나루' 가 옳은 표현이라고 믿고 그렇게.. 2022. 8. 20.
당최vs당체,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너는 당최 무슨 말을 하고 있는 거냐? vs 2번 너는 당체 무슨 말을 하고 있는 거냐? 1번? 당최? 2번? 당체?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당최 발음 [당최/당췌] 「부사」 ((부정의 뜻이 있는 말과 함께 쓰여)) ‘도무지’, ‘영’의 뜻을 나타내는 말. 무슨 말인지 당최 모르겠다. 어찌 된 일인지 당최 알 수가 없어.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당최' (부정의 뜻이 있는 말과 함께 쓰여) '도무지', '영' 의 뜻을 나타내는 말. 도대체 무슨 영문이지,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부정적인 상황에서) 라는 문장에서 사용하는 말이다. 발음을 보면 [당최/ 당.. 2022. 8. 19.
우레vs우뢰,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우레와 같은 박수가 터져 나왔다. vs 2번 우뢰와 같은 박수가 터져 나왔다. 1번? 우레? 2번? 우뢰? 무엇이 옳은 표현일까? 함께 알아보자! ★우레 발음 [우레] 「명사」 뇌성과 번개를 동반하는 대기 중의 방전 현상. =천둥. 우레가 울다. 우레가 치다. 먼 하늘에서 우레가 울려왔다.≪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우레' [명사] 뇌성과 번개를 동반하는 대기 중의 방전 현상.=천둥. 제26항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 ⑯ ‘천둥’과 동의어인 ‘우레’는 본래.. 2022. 8. 18.
속속이vs속속들이,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속속이 파헤쳐 보자. vs 2번 속속들이 파헤쳐 보자. 1번? 속속이? 2번? 속속들이? 무엇이 옳은 표현일까? 함께 알아보자! ★속속들이 발음[속ː쏙뜨리] 「부사」 깊은 속까지 샅샅이. 속속들이 다 이해하다. 속속들이 조사하다. 그는 자기가 처한 어려움을 속속들이 늘어놓았다. 사실 이것은 그녀의 정체를 속속들이 나타내 보여 주는 대목이나 아닐까.≪이호철, 소시민≫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속속들이' [부사] 깊은 속까지 샅샅이. '속속들이' 라는 말도 익숙했지만 '속속이' 도 틀린 말이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속속들이' 의 잘못된 표현이 '속속이' 였다는 사실에.. 2022. 8. 18.
열대야vs열대아,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열대야로 인해 에어컨 없이 잠들 수가 없다. vs 2번 열대아로 인해 에어컨 없이 잠들 수가 없다. 정답은 무엇일까요? 정말 지긋지긋했던 여름이 이제 끝이 보이는 것 같다. 이런 말 하면 아직도 덥다고 ㅜㅜ 하시는 분도 있으시겠지만... 입추라는 절기가 얼마 전에 있었고 말복도 이제 지났다. 아침, 저녁으로는 이제 선선한 바람이 부는 것 같은데... 여름에 잠 못 이루게 하는 것 바로 '열대야' ? '열대아'? 올바른 표기와 함께 그 현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열대야 발음 [열때야] 「명사」 『지구』 방 밖의 온도가 25℃ 이상인 무더운 밤. 일기 예보에 따르면 북태평양 고기압의 발달로 폭염과 열대야가 장기간 지속된다고 한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 2022. 8. 17.
군드러지다, 무슨 뜻일까요? '군드러지다' '군드러져' '군드러지니' 단어 들어본 적이 있나요? 오늘은 잘 쓰이지는 않지만 뜻을 알고 나면 마구마구 연관단어가 떠오르는 '군드러지다' 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군드러지다 발음 [군드러지다] 참고 어휘: 곤드라지다. 「동사」 「1」 몹시 피곤하거나 술에 취하여 정신없이 푹 쓰러져 자다. 만취하여 길바닥에 군드러지다. 「2」 【…에】【…으로】 곤두박질하여 푹 쓰러지다. 발을 헛디뎌 마당에 군드러졌다. 계단을 내려가다 아래로 군드러져 크게 다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군드러지다' [동사] 1. 몹시 피곤하거나 술에 취하여 정신없이 푹 쓰러져 자다. 2. 곤두박.. 2022. 8. 17.
비끼다vs비키다, 무엇이 다를까요? 문제 1번 태풍이 우리나라를 비껴갔다. vs 2번 태풍이 우리나라를 비켜 갔다. 1번? 비껴 (비끼다) 2번? 비켜 (비키다)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오늘은 '비끼다' 와 '비키다' 에 대해 함께 알아보자! ★비끼다 「동사」 1 【…에】 「1」 비스듬히 놓이거나 늘어지다. 밤하늘에 남북으로 비낀 은하수. 이윽고 검은 그림자가 푸른 달빛에 비끼었다….≪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밖은 그동안 훤히 동이 터서, 하늘에 비낀 구름들이 연보랏빛으로 곱게 물들었다.≪홍성원, 육이오≫ 「2」 비스듬히 비치다. 주막의 눈썹차양에 하오의 마지막 햇살이 느슨하게 비끼기 시작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놀이 짙게 비낀 유리창이 먼저 명훈의 눈을 찔러 왔다.≪이문열, 변경≫ 「3」 얼굴에 어떤 표정이 잠깐 드러나다. 그의.. 2022. 8. 16.
자투리vs짜투리,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자투리 조각을 어디에 모아 두었니? vs 2번 짜투리 조각을 어디에 모아 두었니? 1번? 자투리? 2번? 짜투리? 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자투리 발음 [자투리] 옛말: 자토리 「명사」 「1」 『복식』 자로 재어 팔거나 재단하다가 남은 천의 조각. ≒말합, 잔척. 자투리 무명. 자투리 천. 비단 자투리를 모아 방석을 만들다. 「2」 어떤 기준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작거나 적은 조각. 자투리 필름. 자투리 고무 조각을 재활용하다. 근무 전후의 자투리 시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자투리' 1. 자로 재어 팔거나 재단.. 2022. 8. 16.
달리다vs딸리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기운이 달려 힘들다. vs 2번 기운이 딸려 힘들다. 1번? 달려 (달리다) 2번? 딸려 (딸리다) 둘 중 옳은 것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달리다 「동사」 재물이나 기술, 힘 따위가 모자라다. 일손이 달리다. 다른 사람들에 비해 실력이 달린다. 기운이 달려 일을 더 이상 못 하겠다. 이곳 물자가 달리니 원조를 부탁합니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달리다' 재물이나 기술, 힘 따위가 모자라다. 발음 [달리다] 활용: 달리어, 달려, 달리니 내가 발음이 강해서 그랬을까? '기운이 딸리다.' 또는 '기운이 딸려 힘들다.' 라고 발음을 했기에 당연히 가 옳은 표현일거라고 생각.. 2022. 8. 15.
밭다, 무슨 뜻일까요? '밭다' 란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나요? 사실 '밭다' 를 처음 듣고는 이게 진짜 표준어인가? 잘못 적혀진 단어인가? 새로운 신조어인가? 궁금해졌다. ❤예문: 약속 시간이 밭으니 마음이 급해진다.❤ 특별히 '밭다' 를 사용한 문장 중에서 위의 예문에 사용된 '밭다' 는 무슨 뜻으로 쓰였을까? 오늘은 '밭다' 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밭다' 를 검색하면 이렇게 6가지의 '밭다' 를 만날 수 있다. 출처: 검색 결과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선택 항목 어휘, 구성단위, 고유어 여부, 원어, 어원, 주표제어, 부표제어, 발음, 활용, 검색용 이형태, 품사, 공통 문형, 의미 문형, 공통 문법, 의미 문법, 뜻풀이, .. 2022. 8.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