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524

수박하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 범인이 도망가지 못하게 수박했다. 위의 문장에서 사용된 '수박했다'(수박하다)는 무슨 뜻일까? 우리가 알고 있는 과일 '수박'과 관련이 있을까? 함께 알아보자! ★수박하다 「동사」 【…을】 붙잡아 묶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수박하다' [동사] ~을 붙잡아 묶다. 수박(한자어)+하다(고유어)로 이루어진 합성어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나온 뜻에 의하면 '수박하다'는 과일 '수박'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수박 「명사」 「1」 『식물』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줄기의 길이는 4~6미터이고 땅 위를 기며, 잎은 어긋나고 3~4개로 깊게 갈라진다. 여름에 연한 누런색 꽃이 .. 2023. 10. 29.
손절, 무슨 뜻일까요? 문제 나는 내 친구와 어제 손절했다. 위의 문장에서 사용된 '손절'은 무슨 뜻일까? 오늘은 '손절'에 대해 함께 알아보려고 한다. ★손절(損絶) :주식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손해를 감안하고 내가 매입했던 금액보다 손해를 보면서 파는 것을 의미함. 같은 말로 손절매라고도 함. :지금은 주식용어를 넘어서 일상생활에서 관계를 끊는다. 절교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손절'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다. ★손절 「명사」 대를 이을 자손이 끊어짐. =절손.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손절'은 대를 이을 자손이 끊어짐... 2023. 10. 29.
포도하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 포도하는 일이 가장 급선무다. 포도하다? 그 내가 알던 그 과일 포도? 인가? 과연 위의 문장은 무슨 의미를 나타내는 것일까? 오늘은 '포도하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포도하다1 (捕盜하다) 「동사」 도둑을 잡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포도하다1' [동사] 도둑을 잡다. 사로잡을 포, 도둑 도 (한자어) + 하다 (고유어) 합성어이다. ★포도하다2 (逋逃하다) 「동사」 죄를 짓고 달아나다. 「비슷한말」 둔도하다(遁逃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포도하다2.. 2023. 10. 22.
무우하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 무우하게 지내는 게 내 소원이다. 무우하게? 무우하다? 위의 문장에서 사용된 '무우하다'는 무슨 뜻일까? 함께 알아보자! ★무우하다 「형용사」 아무 근심이 없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무우하다' [형용사] 아무 근심이 없다. 없을 무, 근심 우 (한자어) + 하다 (고유어) 합성어이다. 위의 문장을 다시 살펴보자. 문제 무우하게 지내는 게 내 소원이다. =아무 근심이 없이(아무 근심 없게) 지내는 게 내 소원이다. '무우하다' 이렇게 정리하기 전에 이런 단어가 있는 줄도 몰랐다. '무우하다'의 정의가 아무 근심이 없다. 이기에 갑자기 문득 '근심'이 한자어가 아닌가? 싶어 국립.. 2023. 10. 22.
오이하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 책을 더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친구의 말을 나는 오이했다. 위의 문장에서 '오이하다'는 무슨 뜻일까? 함께 알아보자! ★오이하다 「동사」 충고하는 말이 귀에 거슬리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오이하다' [동사] 충고하는 말이 귀에 거슬리다. 한자어 '오이' + 고유어 '하다' 로 이루어진 우리말 그럼 위의 문장을 다시 살펴보자! 문제 책을 더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친구의 말을 나는 오이했다. =책을 더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친구의 말이 (그 충고하는 말이) 나는 귀에 거슬렸다. 결국 친구가 책을 더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고 나에게 충고하였지만 나는 그 충고가 귀에 거슬렸다. .. 2023. 10. 19.
자몽하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 그녀는 자몽한지 전혀 일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 문장에서 사용된 '자몽하다(자몽한지)'는 무슨 뜻일까? 함께 알아보자! ★자몽하다 「형용사」 졸릴 때처럼 정신이 흐릿한 상태이다. 과부가 자몽하여 자는 것같이 누워 있을 때 정 첨지 며느리가 미음을 가지고 와서…. ≪홍명희, 임꺽정≫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자몽하다' [형용사] 졸릴 때처럼 정신이 흐릿한 상태이다. 그럼 위에서 나온 문장의 '자몽하다'의 의미를 알게 되었으니 해석해 보자! 문제 그녀는 자몽한지 전혀 일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녀는 졸릴 때처럼 정신이 흐릿한 상태인지 전혀 일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었다. .. 2023. 10. 16.
매실매실하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 배우가 매실매실한 역할을 얼마나 잘하는지 현실과 드라마를 헷갈리게 할 정도이다. 위의 문장에서 사용된 '매실매실하다'는 무슨 뜻일까? '매실매실하다'를 처음 들었을 때 매실이라는 열매가 먼저 떠오르는 건 많은 사람들도 동의할 것 같이다. 오늘은 '매실매실하다'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정말 '매실'이라는 열매와 관련이 있을까? ★매실매실하다 「형용사」 사람이 되바라지고 반드러워 얄밉다. 매실매실하게 행동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매실매실하다' [형용사] 순우리말이다. 사람이 되바라지고 반드러워 얄밉다. 뜻은 짧은 문장인데, 정의하고 있는 단어가 어렵다. 되바라지다? 이건 .. 2023. 10. 15.
꺼림직하다vs꺼림칙하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그 사건을 듣고 나서 계속 꺼림직한 기분이 들었다. vs 2번 그 사건을 듣고 나서 계속 꺼림칙한 기분이 들었다. 1번 꺼림직하다? 2번 꺼림칙하다? 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꺼림직하다 「형용사」 마음에 걸려서 언짢고 싫은 느낌이 있다. =꺼림칙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꺼림직하다 [형용사] 마음에 걸려서 언짢고 싫은 느낌이 있다. =꺼림칙하다. ★꺼림칙하다 「형용사」 【…이】【 -기가】 마음에 걸려서 언짢고 싫은 느낌이 있다. ≒꺼림직하다. 그가 그 일을 알고 있다는 사실이 마음속에 조금 꺼림칙하게 남았다. ≪조해일, 왕십리≫ 아이를 혼자 보내.. 2023. 10. 15.
별의별vs별에별,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별의별 생각 좀 그만해. vs 2번 별에별 생각 좀 그만해. 1번 별의별? 2번 별에별? 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별의별 발음[벼릐별/벼레별] 「관형사」 보통과 다른 갖가지의. ≒별별. 별의별 고생을 다 하다. 여란은 박승재의 그 이상한 눈빛 때문에 별의별 생각이 다 들어 늦도록 잠을 이루지 못했다. ≪박완서, 미망≫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별의별 [관형사] 보통과 다른 갖가지의. ≒ 별별. 한자어+고유어로 이루어진 합성어. 다를 별 이라는 한자가 두 번 들어가 다르고 다른, 보통과 다른 갖가지의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이다. ★별별 「관형사」 .. 2023. 10. 14.
곱빼기vs곱배기,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그는 항상 음식을 곱빼기로 주문한다. vs 2번 그는 항상 음식을 곱배기로 주문한다. 1번 곱빼기? 2번 곱배기? 둘 중 옳은 것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곱빼기 「명사」 「1」 음식에서, 두 그릇의 몫을 한 그릇에 담은 분량. 그들은 모두 배가 고팠던 터라 자장면을 곱빼기로 시켜 먹었다. 「2」 계속하여 두 번 거듭하는 일. 곱빼기로 욕을 먹다. 어려움을 곱빼기로 겪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곱빼기' [명사] 1. 음식에서, 두 그릇의 몫을 한 그릇에 담은 분량. 2. 계속하여 두 번 거듭하는 일. '곱배기'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과 국립국어원 우리말샘에서 찾으.. 2023. 10. 9.
꺼실꺼실vs꺼슬꺼슬/ 까실까실vs까슬까슬,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아내의 손이 꺼실꺼실해졌다. vs 2번 아내의 손이 꺼슬꺼슬해졌다. 1번 꺼실꺼실? 2번 꺼슬꺼슬?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문제 1번 까실까실한 피부에 이 로션이 정말 좋다고 한다. vs 2번 까슬까슬한 피부에 이 로션이 정말 좋다고 한다. 1번 까실까실? 2번 까슬까슬?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오늘은 위의 두 문제에 나온 '꺼실꺼실vs꺼슬꺼슬' 그리고 '까실까실vs까슬까슬' 에 대해서 무엇이 옳은 표현인지 함께 알아보려고 한다. ★꺼슬꺼슬 「부사」 「1」 살결이나 물건의 거죽이 매끄럽지 않고 꺼칠하거나 뻣뻣한 모양. ‘거슬거슬’보다 센 느낌을 준다. 「2」 성질이 부드럽지 못하고 매우 거친 모양. ‘거슬거슬’보다 센 느낌을 준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 2023. 10. 9.
늦깎이vs늦깍이,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내 친구는 이제서야 늦깎이 대학생이 되었다. vs 2번 내 친구는 이제서야 늦깍이 대학생이 되었다. 1번 늦깎이? 2번 늦깍이? 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늦깎이 「명사」 「1」 나이가 많이 들어서 승려가 된 사람. 「반대말」 올깎이 「2」 나이가 많이 들어서 어떤 일을 시작한 사람. 늦깎이로 시작한 연기 생활이었던 만큼 그 길이 순탄치 않았다. 그는 늦깎이 교수로 불리었다. 「3」 남보다 늦게 사리를 깨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4」 과일이나 채소 따위가 늦게 익은 것.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늦깎이' [명사] 1. 나이가 많이 들어서 승려가 .. 2023. 10.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