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520

계제vs게제,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이건 포기할 수 없는 계제였다.vs2번 이건 포기할 수 없는 게제였다. 1번 계제?2번 게제?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계제3「명사」「1」 사다리라는 뜻으로, 일이 되어 가는 순서나 절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계제를 밟다.깊이 알려고 할수록 공부에는 밟아야 되는 계제가 있음도 짐작이 되었다. ≪박종홍, 새날의 지성≫불차탁용이란 계제를 가리지 않고 자리를 뛰어서 인물 본위로 벼슬자리를 준다는 가장 영광스러운 승진을 말하는 것이다. ≪박종화, 임진왜란≫「2」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된 형편이나 기회. ≒진량.변명할 계제가 없었다.이것저것 가릴 계제가 아니다.그러나 내겐 장인님이 감히 큰소리할 계제가 못 된다. ≪김유정, 봄봄≫아무래도 다른 동무들한테 한풀 꺾이는 것을 액색히 생.. 2024. 11. 11.
느자구없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나를 보고도 아는 척을 안하다니 느자구없는 녀석이네. 위의 문장에 나온 '느자구없는'은무슨 뜻일까? 오늘은 '느자구없다'에 대해정리해 보려고 한다. ★느자구없다품사 「형용사」분류 「방언」 「001」‘싹수없다’의 방언(전남). 저 집 아들은 어른들헌티 인사도 안 허고 느자구없어.번역: 저 집 아들은 어른들한테 인사도 안 하고 싹수없어. 출처: 우리말샘 - 내용 보기 우리말샘 - 내용 보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opendict.korean.go.kr★싹수없다활용: 싹수없어[싹쑤업써], 싹수없으니[싹쑤업쓰니], 싹수없고[싹쑤업꼬], 싹수없는[싹쑤엄는], 싹수없지[싹쑤업찌] 「형용사」장래성이 없다. ≒싹없다.제 어미 아비도 몰라보다니, 저런 싹수없는 자식 같으니라고.출처: 사전 - .. 2024. 11. 4.
조사불다, 무슨 뜻일까요? 확 조사불랑께.그건 조사버려야지.그걸 조사버리면 어떡해.마늘을 조사서 나를 줘.위에서 나온 조사불랑께, 조사버려야지, 조사버리면, 조사서의 표현은무슨 뜻일까?오늘은 '조사불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조사불다끝이 뾰족한 물건으로 찍어서 잘게 부수어 버리다. 쪼아버리다. 뽀개버리다. 다져버리다를 의미하는 전라도 사투리.비슷한 말: 조사뿐다, 조사분다, 조사버린다사실 나는 전라도 사람이라조사분다, 조사뿐다, 조사버린다, 조사불다 표현을구어체에서 자주 사용했다.그래서 어색하지 않았는데다른 사람들이 들었을 때는다소 어감이 세서 욕처럼 들릴 수도 있겠다 싶었다.어쨌든 욕은 아니니오해하는 일은 없기를!다만 정확하게 '조사불다'가 무슨 뜻인지에 대해선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찾을 수 없었다.어원이 무엇이고, 정.. 2024. 11. 4.
염치 불구 vs 염치 불고,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염치 불구하고 부탁 좀 해도 될까요?vs2번 염치 불고하고 부탁 좀 해도 될까요? 1번 염치 불구?2번 염치 불고?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불고염치  「명사」염치를 돌아보지 아니함.불고염치로 간청하다.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stdict.korean.go.kr ★염치「명사」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 ≒염우.예의와 염치에 어긋나다.너는 애가 염치도 없이 어른 앞에서 왜 그 모양이니?어진 이들은 가뭄에 콩 나기일 뿐,.. 2024. 10. 31.
곰곰이vs곰곰히,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너는 아까부터 곰곰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거야?vs2번 너는 아까부터 곰곰히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거야? 1번 곰곰이?2번 곰곰히?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함께 알아보자! ★곰곰이「부사」여러모로 깊이 생각하는 모양. =곰곰.곰곰이 생각에 잠기다.그는 당황하지 않고 곰곰이 혼자 대책을 궁리하였다.> 한 걸음 더·‘곰곰이’는 부사에 ‘-이’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부사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25항)과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51항)에 따라 ‘곰고미’나 ‘곰곰히’로 적지 않고 ‘곰곰이’로 적는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곰곰이'[부사][.. 2024. 10. 13.
심술머리 vs 심술딱지,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내 동생이 심술머리를 부리니 괴롭다.vs2번 내 동생이 심술딱지를 부리니 괴롭다. 1번 심술머리?2번 심술딱지?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심술머리「명사」→ 심술딱지.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심술머리'는 '심술딱지'의 잘못된 표현이다.ㅠㅠ이제까지 '심술머리'를 자연스럽게 써왔던 것 같은데 ㅠㅠ표준어가 아니었다.★심술딱지 「명사」‘심술’을 속되게 이르는 말.일은 된 것이나 그래도 심술딱지 조카 놈에게 양해를 얻어 놓아야 안심이 되겠다고…. ≪염상섭, 무화과≫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2024. 10. 9.
뒤태vs뒷태,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뒤태가 아름답다.vs2번 뒷태가 아름답다. 1번 뒤태?2번 뒷태?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뒤태발음[뒤ː태]「명사」뒤쪽에서 본 몸매나 모양.뒤태가 아리따운 처녀.뒤태가 곱다.그 앞을 지나쳐 큰아버지 가까이로 올라가고 있는 전립 쓴 사내의 뒤태를 바라보고 서 있었다. ≪문순태, 타오르는 강≫「비슷한말」 뒤태도(뒤態度)「반대말」 앞태(앞態)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뒤태'[명사]뒤쪽에서 본 몸매나 모양.'뒷태'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봤지만나오지 않았다.위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은'뒤태'를 보면뒤(고유어) + 태(한자어)로 이루어진합성어임을 알 수 있다.이 경우에 소리가 덧나지 않으므로그냥 '뒤태'.. 2024. 10. 9.
길죽길죽 vs 길쭉길쭉,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오이를 길죽길죽 썰어줘.vs2번 오이를 길쭉길쭉 썰어줘. 위의 문장에서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길죽길죽「부사」→ 길쭉길쭉.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어휘, 구성단위, 고유어 여부, 원어, 어원, 주표제어, 부표제어, 발음, 활용, 검색용 이형태, 품사, 공통 문형, 의미 문형, 공통 문법, 의미 문법, 뜻풀이, 용례, 범주, 전문 분야, 속담, 관용구, 대역stdict.korean.go.kr ★길쭉길쭉「부사」여럿이 다 조금 긴 모양.떡을 길쭉길쭉 썰다.마당가에선 참죽나무 서너 그루가 이쪽으로 길쭉길쭉 시원스러운 그림자들을 자꾸만 눕혀서 보내곤 세워서 보내곤 하는 듯하다. ≪윤흥길, 묵시의 바다≫출처: .. 2024. 10. 8.
단근질vs당금질,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단근질은 참 무섭다.vs2번 당금질은 참 무섭다. 1번 단근질?2번 당금질?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단근질「명사」불에 달군 쇠로 몸을 지지는 일. ≒낙형.그는 모진 단근질까지 당하고도 말문을 끝까지 열지 않았다.덕령은 옥에 갇힌 지 이십 일 동안에 단근질로 고문을 당한 수효가 백 번이 넘었다. ≪박종화, 임진왜란≫>관용구/속담관용구-단근질(을) 참듯매우 참기 어려운 것을 참는 경우에 이르는 말.· 들이어 주신 사람을 내 자의로 내쫓기가 어려워서 단근질 참듯 참았어요.≪홍명희, 임꺽정≫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불에 달군 쇠로 몸을 지지는 일.' =단근질★당금질「명사」→ 단근질.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 2024. 10. 6.
장마비vs장맛비,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장마비에 빨래가 잘 마르지 않는다.vs2번 장맛비에 빨래가 잘 마르지 않는다. 1번 장마비?2번 장맛비?위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함께 알아보자!★장마-비1「명사」→ 장맛비.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stdict.korean.go.kr★장마-비2 「명사」『의학』 창자의 운동이 약하여서 창자 안에 가스가 가득 차는 증상. 복막염에서 주로 보이며 개복 수술 뒤에도 가끔 일어난다. 창자막힘증의 원인이 되는 수도 있다. =창자.. 2024. 9. 26.
지남철, 무슨 뜻일까요? 최화정 배우님의유튜브 채널 영상을 보다가'지남철'이라는 단어를 듣게 되었다.최화정 배우님이 '지남철'을 이야기하면서PD에게 민망한지 ㅋㅋ너 이거 몰라?'지남철'이라고 하면서 웃으셨다. 오늘은최화정 배우님께서 이야기하신'지남철'에 대해서정리해 보려고 한다. ★지남철 (指南鐵) 가리킬 지, 남녘 남, 쇠 철 「명사」「1」 『물리』 쇠를 끌어당기는 자기를 띤 물체. 천연적으로는 자철석이 있고, 강철을 인공적으로 자기화하여 만들기도 한다. 외부 자기장이 없이도 자기를 띠고 있는 영구 자석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자기를 띠게 되는 일시 자석이 있다. 이들의 특성은 잔류 자화와 보자력으로 나타낸다. =자석.쇳가루가 지남철에 붙다.기차에 가까워질수록 그들은 넋이 나가 마치 지남철에 이끌리는 쇠붙이처럼 자유의사를 상실.. 2024. 9. 22.
돋우다vs돋구다, 무엇이 다를까요? 문제1번 새콤달콤한 나물 무침은 내 입맛을 돋우었다.vs2번 새콤달콤한 나물 무침은 내 입맛을 돋구었다. 1번 돋우다?2번 돋구다?위 문장에서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돋우다「동사」【…을】「1」 위로 끌어 올려 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호롱불의 심지를 돋우다.동생은 발끝을 돋우어 창밖을 내다보았다.「2」 밑을 괴거나 쌓아 올려 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벽돌을 돋우다.친구는 방석을 여러 장 겹쳐 자리를 돋운 다음 그 위에 앉았다.「3」 감정이나 기색 따위를 생겨나게 하다. ‘돋다’의 사동사.신바람을 돋우다.신명을 돋우다.화를 돋우다.호기심을 돋우다.신경을 돋우다.노인네들의 그 노래도 한탄도 아닌 흥얼거림처럼, 혹은 그 느릿느릿 젖어 드는 필생의 슬픔처럼 취흥을 돋울 만한 소리는 아니었다. .. 2024. 9.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