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염치 불구 vs 염치 불고, 무엇이 옳을까요?

by 행복한쥬이 2024. 10. 31.
반응형

문제

1번 염치 불구하고 부탁 좀 해도 될까요?

vs

2번 염치 불고하고 부탁 좀 해도 될까요?

 

1번 염치 불구?

2번 염치 불고?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





★불고염치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명사」

염치를 돌아보지 아니함.

  • 불고염치로 간청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염치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명사」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 ≒염우.

  • 예의와 염치에 어긋나다.
  • 너는 애가 염치도 없이 어른 앞에서 왜 그 모양이니?
  • 어진 이들은 가뭄에 콩 나기일 뿐, 대개는 염치를 모르는 탐관들이었다. ≪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내가 너무 오래 소식을 끊고 지냈으니, 자네가 편지를 안 한다고 책망할 염치가 없네. ≪심훈, 영원의 미소≫

> 관용구/속담

-관용구: 염치(를) 차리다

염치를 알아 부끄럽지 아니하게 행동하다.

· 그 사람이 또 수줍어할 것도 부끄러워할 것도 염치를 차릴 것도 없는 사람이라면…….≪마해송, 아름다운 새벽≫

-속담: 염치와 담(을) 쌓은 놈

염치가 조금도 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불고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 돌아보지 아니함.

  • 체면 불고.
  • 염치 불고.

「2」 돌보지 아니함.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염치 불구하고 부탁 좀 해도 될까요? (X)

vs

2번 염치 불고하고 부탁 좀 해도 될까요? (O)

 

정답은 2번 염치 불고하고 부탁 좀 해도 될까요? 이다.

 

염치 불구 (X)

염치 불고 (O)

 


난 이제까지 '염치 불구'가 옳은 표현이라고 알고 있었다.
사용할 때 그 누구도 잘못된 표현이라고 말해준 적도 없었기에...
그래서 '염치 불구'가 잘못된 표현이고 '염치 불고'가 옳은 표현이라는 것이
충격적이었다.

그렇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나를 포함하여)
'염치 불고'를 '염치 불구'로 잘못 사용하는걸까?

그 이유는 '불고' 대신 '불구'가 더 익숙하기 때문이다.
'불구하다'는 '얽매여 거리까지 아니하다'라는 뜻으로
예를 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전하려고 했다 등의 문장으로 자주 사용한다.

어쨌든 정리하자면
'불구'의 의미를 생각했을 때
염치+불구는 이치에 맞지 않는 표현이 되므로
잘못된 것이다.

 

오늘 정리를 통해 정말 잘못 사용했던 것에 대해 반성하고

이제는 '염치 불고' 또는 '불고염치'라는 표현으로

바르게 사용해야겠다 다짐했다.

 

오늘의 정리 끝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