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1번 자투리 조각을 어디에 모아 두었니?
vs
2번 짜투리 조각을 어디에 모아 두었니?
1번? 자투리?
2번? 짜투리?
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1.gif)
★자투리
발음 [자투리]
옛말: 자토리
「명사」
「1」 『복식』 자로 재어 팔거나 재단하다가 남은 천의 조각. ≒말합, 잔척.
- 자투리 무명.
- 자투리 천.
- 비단 자투리를 모아 방석을 만들다.
「2」 어떤 기준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작거나 적은 조각.
- 자투리 필름.
- 자투리 고무 조각을 재활용하다.
- 근무 전후의 자투리 시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자투리'
1. 자로 재어 팔거나 재단하거나 남은 천의 조각.
2. 어떤 기준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작거나 적은 조각.
조금 남은 천의 조각이나 적은 조각을
'자투리' 라고 말한다.
발음이 [자투리] 였다니,
'짜투리' 로 오해했던 것이 발음의 문제였을 줄 알았는데...
아니었나보다 ^^:;
앞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자투리 조각을 어디에 모아 두었니? (O)
vs
2번 짜투리 조각을 어디에 모아 두었니? (X)
정답은 1번 자투리 조각을 어디에 모아 두었니? 이다.
자투리 (O)
짜투리 (X)
자투리 시간 (O)
짜투리 시간 (X)
자투리 천 (O)
짜투리 천(X)
헷갈리지 말고 바르게 사용하자 :)
반응형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드러지다, 무슨 뜻일까요? (0) | 2022.08.17 |
---|---|
비끼다vs비키다, 무엇이 다를까요? (0) | 2022.08.16 |
달리다vs딸리다,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8.15 |
밭다, 무슨 뜻일까요? (0) | 2022.08.15 |
떠버리vs떠벌이,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