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11

작렬vs작열, 무엇이 다를까요? 문제1번 뜨거운 태양이 작렬하는 여름이 곧 오고 있다.vs2번 뜨거운 태양이 작열하는 여름이 곧 오고 있다. 1번 작렬?2번 작열?위의 문장에서 '작렬'과 '작열' 중어떤 단어를 써야 옳은 것일까?함께 알아보자! ★작렬「명사」「1」 포탄 따위가 터져서 쫙 퍼짐.「2」 박수 소리나 운동 경기에서의 공격 따위가 포탄이 터지듯 극렬하게 터져 나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폭죽 같은 홈런의 작렬.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stdict.korean.go.kr '작렬'[명사.. 2025. 6. 10.
망발, 무슨 뜻일까요? '귀궁' 드라마를 보다가 듣게 된 대사'망발 좀 그만 하시오.'처음에 듣고는 '망발' ?'망발'이 아니라 '막말' 아닌가?내가 잘못 들었나? 생각이 들었다.'망발'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어보았기에긴가민가했다. 문제어린아이가 어른들에게 함부로 하는 말은 망발로 여겨질 수 있다. 위의 문제에서 나온 '망발'은 무슨 뜻일까?함께 알아보자! ★망발 「명사」「1」 망령이나 실수로 그릇된 말이나 행동을 함. 또는 그 말이나 행동.망발을 지껄이다.사업 시작도 안 했는데 망하다니, 무슨 그런 망발을 하는 거야?타고난 품위와 의연함으로 망발은 하지 않았겠지만 어딘가 찜찜하다. ≪한무숙, 만남≫「비슷한말」 망언(妄言) 「2」 말이나 행동을 잘못하여 자신이나 조상을 욕되게 함. 또는 그런 언행.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2025. 6. 4.
미욱하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그의 미욱한 행동은 주변 사람들을 걱정시켰다. 위의 문제에서 나온 '미욱한'(미욱하다)는 무슨 뜻일까?오늘은 '미욱하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미욱하다「참고 어휘」매욱하다 ( 하는 짓이나 됨됨이가 어리석고 둔하다. ) 「형용사」하는 짓이나 됨됨이가 매우 어리석고 미련하다.미욱한 것 같으면서도 그만한 감각은 있는 형배였다. ≪이문열, 변경≫최봉일이 이렇게 웃어 대기만 하자 그는 이때껏 가슴을 조이며 여기까지 달려온 스스로가 불쌍하고 미욱하게 여겨지고 우스워졌다. ≪한승원, 해일≫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미욱하다'[형용사][순우리말]하는 짓이나 됨됨이가 매우 어리석고 미련하다.'매욱하다'와 '미욱하다'는 뜻은 같으나 '매욱하다'가 '미욱하다'보다 의미의 세기가 더 약.. 2025. 6. 1.
비쭉비쭉하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부모님께 야단을 맞은 아이는 입을 비쭉비쭉하며 눈물을 흘렸다. 문제에 나온 '비쭉비쭉하다'는 무슨 뜻일까?오늘은 '비쭉비쭉하다'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비쭉비쭉하다1「형용사」여럿이 다 끝이 조금 길게 내밀려 있다. ‘비죽비죽하다’보다 조금 센 느낌을 준다.비쭉비쭉한 바위 모서리가 야무네 심장을 찌르는 것 같다. ≪이호철, 고여 있는 바닥≫「본말」 비쭈룩비쭈룩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비쭉비쭉하다1'[형용사][순우리말]여럿이 다 끝이 조금 길게 내밀려 있다.★비쭉비쭉하다2「동사」【…을】언짢거나 비웃거나 울려고 할 때 소리 없이 입을 내밀고 실룩거리다. ‘비죽비죽하다’보다 조금 센 느낌을 준다.아이는 입을 비쭉비쭉하더니 눈물을 뚝뚝 떨어뜨렸다.「비슷한말」 비쭉거리.. 2025. 5. 30.
에계vs애걔,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에계, 이것만 주는거야?VS2번 애걔, 이것만 주는거야? 1번 에계?2번 애걔?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에계「감탄사」「1」 뉘우치거나 탄식을 할 때 내는 소리.에계, 이 일을 어찌하지?「2」 어떤 것이 작고 하찮거나 기대 따위에 훨씬 못 미쳐 업신여길 때 내는 소리.에계, 겨우 요것밖에 안 줘?에계, 이까짓 것을 어디다 쓰라고 그래?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에계'[우리말][감탄사]1. 뉘우치거나 탄식을 할 때 내는 소리.2. 어떤 것이 작고 하차낳거나 기대 따위에 훨씬 못 미쳐 업신여길 때 내는 소리.★애걔「감탄사」「1」 뉘우치거나 탄식할 때 아주 가볍게 내는 소리.애걔, 그릇을 깨뜨렸네.애걔, 또 틀렸네.「2」 대단하지 아니한 것을 보고 업.. 2025. 5. 29.
널따랗다vs넓다랗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널따란 운동장에서 운동회를 하기로 했다.vs2번 넓다란 운동장에서 운동회를 하기로 했다. 1번 널따란? (널따랗다)2번 넓다란? (넓다랗다)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널따랗다「형용사」((실제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명사와 함께 쓰여))꽤 넓다.널따란 평야.방이 널따랗다.아기가 널따란 아빠 품에 안겨 잠이 들었다.작은 문 옆에 차가 드나들 수 있을 만큼 널따란 문이 나 있다.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널따랗다'[형용사]((실제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명사와 함께 쓰여))꽤 넓다.> 한 걸음 더·‘널따랗다’는 ‘넓다’에 ‘-다랗다’가 결합한 말이지만 ‘넓다랗다’로 적지 않고 ‘널따랗다’로 적는다. 이는 용언의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 2025. 5. 18.
빨리빨리 vs 빨리 빨리,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빨리빨리 오너라.vs2번 빨리 빨리 오너라. 1번 빨리빨리?2번 빨리 빨리?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함께 알아보자! ★빨리빨리「부사」걸리는 시간이 아주 짧게.빨리빨리 걷다.빨리빨리 서두르다.빨리빨리 시작하자.빨리빨리 오너라.환자를 빨리빨리 구급차로 옮겨야 한다.범인은 빨리빨리 경찰서에 신고해야 한다.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빨리빨리'[부사][순우리말]걸리는 시간이 아주 짧게.★빨리「부사」「1」 걸리는 시간이 짧게.빨리 걷다.빨리 결정하다.일을 빨리 끝내다.일의 정황을 빨리 파악하다.「2」 어떤 기준이나 비교 대상보다 이르게.목표가 계획보다 빨리 달성되었다.예상보다 빨리 그날이 왔다.그는 자신의 동료보다 빨리 승진하였다.만약에 23세에서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 2025. 5. 16.
빨랫비누VS빨래비누,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빨랫비누 좀 갖다주세요.VS2번 빨래비누 좀 갖다주세요. 1번 빨랫비누?2번 빨래비누?둘 중 옳은 표현이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빨랫비누「명사」빨래할 때 쓰는 비누. =세탁비누.우리 집은 빨랫감이 많아서 빨랫비누가 빨리 닳는다.요즘은 가정에서도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빨랫비누를 만들어 쓴다.> 한 걸음 더·‘빨랫비누’는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30항)에 따라 ‘빨래비누’로 적지 않고 ‘빨랫비누’로 적는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 2025. 5. 8.
매일매일vs매일 매일,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매일매일 사는 것이 일이다.vs2번 매일 매일 사는 것이 일이다. 1번 매일매일?2번 매일 매일?어떻게 띄어써야 할까?무엇이 옳은 것일까?함께 알아보자!★매일매일[Ⅰ] 「명사」그날그날의 날. =하루하루.매일매일이 사는 게 힘들다.[Ⅱ] 「부사」「1」 ‘매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식구가 하나 늘었으니 사냥도 매일매일 가야겠군. ≪장용학, 원형의 전설≫「2」 하루가 지날 때마다. =하루하루.아이들은 매일매일 자라난다.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stdict.ko.. 2025. 5. 8.
아보하, 무슨 뜻일까요? 문제아보하를 실천하면서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었어. 위의 문장에서 사용된 '아보하'는 무슨 의미일까?오늘은 '아보하'에 대해 정리해보자!★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를 줄인말로 앞글자를 따서 '아보하'라고 한다.뜻은 일상적인 평범한 하루에서 소중함을 느끼자는 것이고 또 다른 신조어 '소확행'과 비슷한 뜻을 가졌다.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일상적인 평범한 하루에서 소중함을 느끼자는 것. 굉장히 좋은 의미의 신조어이다.사실 우리가 사는 인생이 매일 쳇바퀴 도는 것과 같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어쩌면 그런 보통의 하루가 생각보다 가장 어려운 하루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요즘 부쩍하게 되는 것 같다. 매일의 삶,평범한 삶에서그 하루가 정말 소중하다는 것을 깨닫는 일이 얼마나 귀한 일일까?'아보하'라는 신조어를 .. 2025. 5. 6.
왠지vs웬지,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그 이야기를 듣고 나니 왠지 불안해졌다.vs2번 그 이야기를 듣고 나니 웬지 불안해졌다. 1번 왠지?2번 웬지?둘 중에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왠지「부사」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그 이야기를 듣자 왠지 불길한 예감이 들었다.아내는 왠지 달갑지 않은 표정이다.매일 만나는 사람인데 오늘따라 왠지 멋있어 보인다.술은 알맞게 취했으나 왠지 기분은 유쾌하지 않았다.경민은 그녀가 울기 시작하자 왠지 그녀의 말이 정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홍성원, 육이오≫담임 선생님을 까닭 없이 흉보며 골목길을 내려오던 철은 왠지 가슴이 섬뜩해 걸음을 멈추었다. ≪이문열, 변경≫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 2025. 5. 6.
얼차려vs얼차레,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나는 오늘 얼차려를 받았다.vs2번 나는 오늘 얼차레를 받았다. 1번 얼차려?2번 얼차레?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함께 알아보자! ★얼차려「명사」『군사』 군의 기율을 바로잡기 위하여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비폭력적 방법으로 육체적인 고통을 주는 일.얼차려를 받다.얼차려를 주다.졸병들은 혼이 빠지도록 얼차려를 당했다.김 병장은 신참들을 끌고 가서 한바탕 얼차려를 돌렸다.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stdict.korean.go.kr '얼차려'[명사][순우리.. 2025.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