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합성어6 빨랫비누VS빨래비누,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빨랫비누 좀 갖다주세요.VS2번 빨래비누 좀 갖다주세요. 1번 빨랫비누?2번 빨래비누?둘 중 옳은 표현이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빨랫비누「명사」빨래할 때 쓰는 비누. =세탁비누.우리 집은 빨랫감이 많아서 빨랫비누가 빨리 닳는다.요즘은 가정에서도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빨랫비누를 만들어 쓴다.> 한 걸음 더·‘빨랫비누’는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30항)에 따라 ‘빨래비누’로 적지 않고 ‘빨랫비누’로 적는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 2025. 5. 8. 뒤태vs뒷태,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뒤태가 아름답다.vs2번 뒷태가 아름답다. 1번 뒤태?2번 뒷태?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뒤태발음[뒤ː태]「명사」뒤쪽에서 본 몸매나 모양.뒤태가 아리따운 처녀.뒤태가 곱다.그 앞을 지나쳐 큰아버지 가까이로 올라가고 있는 전립 쓴 사내의 뒤태를 바라보고 서 있었다. ≪문순태, 타오르는 강≫「비슷한말」 뒤태도(뒤態度)「반대말」 앞태(앞態)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뒤태'[명사]뒤쪽에서 본 몸매나 모양.'뒷태'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봤지만나오지 않았다.위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은'뒤태'를 보면뒤(고유어) + 태(한자어)로 이루어진합성어임을 알 수 있다.이 경우에 소리가 덧나지 않으므로그냥 '뒤태'.. 2024. 10. 9. 오이하다, 무슨 뜻일까요? 문제 책을 더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친구의 말을 나는 오이했다. 위의 문장에서 '오이하다'는 무슨 뜻일까? 함께 알아보자! ★오이하다 「동사」 충고하는 말이 귀에 거슬리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오이하다' [동사] 충고하는 말이 귀에 거슬리다. 한자어 '오이' + 고유어 '하다' 로 이루어진 우리말 그럼 위의 문장을 다시 살펴보자! 문제 책을 더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친구의 말을 나는 오이했다. =책을 더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친구의 말이 (그 충고하는 말이) 나는 귀에 거슬렸다. 결국 친구가 책을 더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고 나에게 충고하였지만 나는 그 충고가 귀에 거슬렸다. .. 2023. 10. 19. 개수 vs 갯수,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번 연필의 개수를 세어 보자. VS 2번 연필의 갯수를 세어 보자. 개수? 갯수? 무엇이 옳은 표현일까? 함께 알아보자! ★개수 「명사」 한 개씩 낱으로 셀 수 있는 물건의 수효. 개수를 세다. 개수가 많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검색 결과 '개수' 가 옳음을 알 수 있었다. '개수' 한 개씩 낱으로 셀 수 있는 물건의 수효 앞에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연필의 개수를 세어 보자. (O) VS 2번 연필의 갯수를 세어 보자. (X) 정답은 바로 1번 연필의 개수를 세어 보자. '개수' 와 '갯수' 가 중 무엇이 맞는 지를.. 2022. 4. 17. 예스럽다 vs 옛스럽다, 무엇이 옳을까요? 1번 예스러운 물건은 참 아름답다. 2번 옛스러운 물건은 참 아름답다. 1번과 2번 중 올바른 표현은 무엇일까? ★예스럽다 발음[예ː스럽따] 「형용사」 옛것과 같은 맛이나 멋이 있다. 예스러운 한문 투. 장롱이 예스럽다. 할머니께서는 항상 예스럽게 한복을 차려입고 다니신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예스럽다' 는 옛것과 같은 맛이나 멋이 있다. 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옛스럽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옛스럽다' 는 잘못된 표현으로 →예스럽다 .. 2022. 1. 28. 해님 vs 햇님,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 1. 비가 오는 날에는 해님이 보고 싶다. 2. 비가 오는 날에는 햇님이 보고 싶다. 1번과 2번 중에 어떤 문장이 옳을까? '해님 또는 햇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해님' 에 대해 찾아보았다. ★해님 「명사」 ‘해’를 인격화하여 높이거나 다정하게 이르는 말. 해님이 방긋 웃다. 봉창이 금세 어둑해진 걸 보니 해님이 숨고 눈발이 치는가 봐요.≪문순태, 타오르는 강≫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해님' 은 '해' 를 인격화하여 높이거나 다정하게 이르는 말. ★햇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햇님'을 찾아보니 '햇님→해님' 이라고 나와있었다. 결국 옳은 표현은 .. 2022. 1.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