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딴청vs딴전, 무엇이 옳을까요?

by 행복한쥬이 2022. 10. 3.
반응형

문제

1번 딴청을 부리다 넘어졌다.

vs

2번 딴전을 부리다 넘어졌다.

 

1번 딴청?

2번 딴전?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딴청

「명사」

어떤 일을 하는 데 그 일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이나 행동. =딴전.

  • 딴청을 부리다.
  • 딴청을 피우다.
  • 딴청을 하다.
  • 계숙 씨는 공연히 알면서도 딴청을 붙이시는군요.≪심훈, 영원의 미소≫
  • 순경이는 선뜻 대답이 나오지 않아서 일부러 딴청을 썼다.≪이기영, 고향≫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딴청'
우리말로 어떤 일을 하는 데 그 일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이나 행동. =딴전.

★딴전

「명사」

어떤 일을 하는 데 그 일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이나 행동. ≒딴청.

  • 딴전을 부리다.
  • 딴전을 보다.
  • 지난 설에는 다녀가지도 않았고, 두 차례나 보낸 편지에 답장마저 없는 걸 보면, 길남이 딴전을 벌이고 있는지 모를 일이다.≪김춘복, 쌈짓골≫
  • 촌각이 바쁜 심부름이기로 널 보내는 것이니 딴전을 피우거나 딴생각을 품을 생각은 아예 마라.≪유현종, 들불≫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딴전'
우리말로 어떤 일을 하는 데 그 일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이나 행동. ≒딴청.

앞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딴청을 부리다 넘어졌다. (O)

vs

2번 딴전을 부리다 넘어졌다. (O)

 

정답은 둘 다 옳은 표현이다.

 

딴청 (O)

딴전 (O)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딴청’을 ‘딴전’과 같은 말로 등재하고, 그 의미를 ‘어떤 일을 하는데 그 일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이나 행동’이라고 등재하고 있다. 또한 표준어 규정 제26항은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다양한 단어들을 모두 표준어로 정함으로써 국어의 어휘를 보다 풍부하게 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긴 것이다.

따라서 ‘딴청을 부리다.’, ‘딴전을 부리다.’는 모두 올바른 표현이다. 우리는 평소 한 가지 뜻을 가진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는데, 위의 경우처럼 표준어 규정을 숙지하여 단수표준어와 복수표준어를 제대로 알고 올바르게 써야 한다.

출처: 감쪽같다(O)/깜쪽같다(X), 딴청을 부리다(O)/딴전을 부리다(X) < 친숙한 우리말 < 문화 < 기사본문 - 동양일보 (dynews.co.kr)

 

감쪽같다(O)/깜쪽같다(X), 딴청을 부리다(O)/딴전을 부리다(X) - 동양일보

(동양일보)감쪽같다(O)/깜쪽같다(X)여름철이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주말에 휴가를 떠난다. 휴가철 바닷가나 계곡에서 물놀이를 하다가 넘어지거나 바위 등에 긁혀서 몸에 상처가 나기 쉽다. 상처

www.dynews.co.kr

 

'딴청''딴전' 은 복수표준어이다.
둘 다 모두 옳은 표현이다.
둘 중 하나만 옳다고 생각하지 않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