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거시기, 무슨 뜻일까요?

by 행복한쥬이 2025. 11. 1.
반응형

문제

갑자기 분위기가 좀 거시기해졌어.

 

위의 문제에서 나온 '거시기'는 무슨 뜻일까?

오늘은 '거시기'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거시기

[Ⅰ] 「대명사」

이름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한 사람 또는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

  • 자네도 기억하지? 우리 동창, 거시기 말이야, 키가 제일 크고 늘 웃던 친구.
  • 저기 안방에 거시기 좀 있어요?
  • 저 혼자서 한 게 아니고요, 거시기하고 같이 한 일입니다만.

[Ⅱ] 「감탄사」

하려는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가 거북할 때 쓰는 군소리.

  • 저, 거시기, 죄송합니다만, 제 부탁 좀 들어주시겠습니까?
> 한 걸음 더
·‘거시기’가 표준어이고 ‘거시키’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일부 단어의 경우, 거센소리로 나지 않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4항)에 따른 것이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거시기'
[순우리말]
[대명사]
이름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한 사람 또는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
[감탄사]
하려는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가 거북할 때 쓰는 군소리.

사실 나는 이렇게 정리하기 전까지

'거시기'가 사투리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검색하니

'거시기'를 찾을 수 있었다.

 

'거시기'가 표준어였다니 >0<

충격이었다.

나는 왜 그걸 몰랐을까?

근데 예문을 보니

글로 쓰는 것보다는보통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되는 건 맞는 것 같다.

 

한 걸음 더 설명을 보니'거시기'는 표준어이고'거시키'는 비표준어라는데사실'거시키'라는 말을 들어본 적도 없어서매우 당황스럽다,


 

★거시기하다

[Ⅰ] 「동사」

말하는 중에 표현하려는 동사가 얼른 생각이 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할 때에, 그 대신으로 쓰는 말. ≒거식하다.

  • 빨리 거시기하자는데 왜 이렇게 늑장을 부리니?
  • 거시기하는 거 너무 걱정하지 마라.

[Ⅱ] 「형용사」

말하는 중에 표현하려는 형용사가 얼른 생각이 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할 때에, 그 대신으로 쓰는 말. ≒거식하다.

  • 지금은 상황이 거시기하니까 나중에 이야기하자.
  • 기분이 거시기할 때면 열흘이고 보름이고 방 안에 틀어박혀 꼼짝도 하지 않는다. ≪김성동, 연꽃과 진흙≫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어휘, 구성단위, 고유어 여부, 원어, 어원, 주표제어, 부표제어, 발음, 활용, 검색용 이형태, 품사, 공통 문형, 의미 문형, 공통 문법, 의미 문법, 뜻풀이, 용례, 범주, 전문 분야, 속담, 관용구, 대역

stdict.korean.go.kr


문제

갑자기 분위기가 좀 거시기해졌어.

 

위의 문장을 해석하면 이와 같다.

갑자기 분위기가 좀 거시기

(이름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한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해졌어.


★'거시기'를 활용해 예문을 만들어보자!

  1. 엄마한테 잔소리 듣고 나니까 기분이 영 거시기하네.
  2. 야, 저기 있는 그 거시기 좀 나한테 던져줄래?
  3. 이 음식, 맛이 좀 거시기한데? 내 입맛엔 별로인 것 같아!
  4. 우리 조장, 회의 준비를 진짜 거시기하게 해왔더라.
  5. 비밀 이야기는 좀 거시기하니까 나중에 따로 말해줄게.
  6. 시험 망치고 나니까 내 정신이 완전 거시기가 되어버렸어. 
  7. 우리 다음에 언제 다시 거시기할까?
  8. 그 사람이 왜 그렇게 거시기하게 행동했는지 이해가 안 가.
  9. 물건 샀는데 포장을 너무 거시기하게 해줘서 좀 실망했어.
  10. 그게 그렇게 거시기한 일이 될 줄은 정말 몰랐지 뭐야!

오늘은 '거시기'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평소에 그냥 구어체에서 많이 쓰는 단어였다.
그런데 쓰면서 한 번도 표준어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
사투리를 쓴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거시기'가 표준어였다니
정말 놀랬다.

하지만 왜
문어체에서는 안 쓰이고
구어체에서 쓰이는지 그 이유는 모르겠다.

'거시기'는 표준어이다.
잊지 말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