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번 가족들과 함께하는 시간은 늘 행복합니다.
vs
2번 가족들과 함께 하는 시간은 늘 행복합니다.
1번 함께하다?
2번 함께 하다?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

★함께하다
「동사」
【(…과) …을】 ((‘…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1」 경험이나 생활 따위를 얼마 동안 더불어 하다. =같이하다.
- 어려움을 함께한 친구.
- 생사고락을 함께하다.
- 그와 평생을 함께할 생각이다.
- 어머니가 큰상을 받는 자리에 의당 집안의 높은 어른들이 자리를 함께한 것까지는 좋았다. ≪전상국, 외딴길≫
「2」 어떤 뜻이나 행동 또는 때 따위를 서로 동일하게 취하다. =같이하다.
- 친구와 행동을 함께하다.
- 그와 이해를 함께하고 있는 입장이어서 그에게 싫은 소리를 할 수가 없었다.
- 주위를 둘러보았으나 뜻을 함께하기로 한 십장들의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문순태, 타오르는 강≫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함께하다'
[동사]
[순우리말]
1. 경험이나 생활 따위를 얼마 동안 더불어 하다. =같이하다.
2. 어떤 뜻이나 행동 또는 때 따위를 서로 동일하게 취하다. =같이하다.
★함께v하다
함께(부사)+하다(동사)
구체적인 행위를 한꺼번에 같이 한다.라는 뜻을 가졌다.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가족들과 함께하는 시간은 늘 행복합니다. (O)
vs
2번 가족들과 함께 하는 시간은 늘 행복합니다. (X)
정답은 1번 가족들과 함께하는 시간은 늘 행복합니다. 이다.
이유는 '함께v하다'는 구체적인 행위를 한꺼번에 같이 해야한다는 뜻인데
위의 문장에서는 구체적인 행위가 드러나지 않았으며,
'함께하다'의 뜻에 경험이나 생활 따위를 얼마 동안 더불어 하다라는 뜻이 있는데
그 뜻을 적용하면 자연스러운 문장이 된다.
'함께하다'와 '함께v하다'를 구별하는 것이 정말 어렵다 ㅜㅜ
사실 이렇게 정리하기 전에
나는 당연히 '함께v하다'로 쓴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했는데
'함께하다'라는 동사가 있을 줄이야...
내가 제대로 모르고 쓴 문장들이 정말 많겠구나!는 생각이 들었다.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은
문장에서 '함께'와 '하다'를 서로 다른 위치에 옮겨 놓아도
문맥상 동일한 뜻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함께 하다'로 띄어쓸 수 있다.
좀 더 쉽게 풀어쓰면
'함께'가 없고 '하다'만 있다고 가정하고 문장을 해석했을 때
전체적으로 그 문장이 말이 되는 경우에는
'함께 하다'로 띄어쓸 수 있다.

★예문을 만들어 보자!
- 회의 참석자 전원이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한마음으로 뜻을 함께했습니다. (뜻을 동일하게 취하다)
- 그는 어려운 시기에 저와 모든 고통을 함께했던 진정한 친구입니다. (경험을 더불어 하다)
- 시민들은 환경 보호 캠페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그 취지에 함께했습니다. (행동/뜻을 동일하게 취하다)
- 이번 축제는 온 시민이 즐거운 분위기를 함께하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행동/상황을 동일하게 취하다)
- 우리 가족은 매일 저녁 식사를 함께 합니다. (식사라는 구체적인 행위를 같이 함)
- 친구와 도서관에서 과제를 함께 하며 밤을 새웠습니다. (과제 풀이라는 구체적인 행위를 같이 함)
- 두 가수가 무대 위에서 아름다운 하모니로 노래를 함께 했습니다. (노래 부르기라는 구체적인 행위를 동시에 함)
- 온 마을 주민들이 모여 김장을 함께 했습니다. (김장이라는 구체적인 행위를 다 같이 함)
- 어린아이들은 놀이터에서 모래 놀이를 함께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모래 놀이라는 구체적인 행위를 같이 함)
이렇게 예문으로 정리하고 나니
이제는 헷갈리지 않고 구별할 수 있을 것 같다. ^^
오늘의 정리 끝!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가다, 무슨 뜻일까요? (4) | 2025.08.06 |
---|---|
양복장이vs양복쟁이, 무엇이 다를까요? (7) | 2025.07.30 |
만들려고vs만드려고, 무엇이 옳을까요? (5) | 2025.07.19 |
실감 나다VS실감나다, 무엇이 옳을까요? (4) | 2025.07.15 |
쌔다vs쎄다, 무엇이 옳을까요? (5) | 2025.07.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