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바로잡다 vs 바로 잡다, 무엇이 옳을까요?

by 행복한쥬이 2025. 4. 30.
반응형

문제

1번 회의에서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의견을 냈다.

vs

2번 회의에서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해 의견을 냈다.

 

1번 바로잡다?

2번 바로 잡다?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바로잡다

「동사」

【…을】

「1」 굽거나 비뚤어진 것을 곧게 하다.

  • 앉은 자세를 바로잡다.
  • 그는 회의에 참석하기에 앞서 옷매무새를 바로잡았다.
  • 다리가 저리고 아파서 몸을 자주 뒤틀면서 자세를 바로잡곤 하였다. ≪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2」 그릇된 일을 바르게 만들거나 잘못된 것을 올바르게 고치다.

  • 기강을 바로잡다.
  • 틀린 글자를 바로잡다.
  • 폐단을 바로잡다.
  • 어지러운 사회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들이 사회 여기저기서 엿보인다.
  • 교사가 탈선한 학생을 바로잡아 주었다.
  • 사람들이 잘못된 길을 걷고 있다면 바로잡아 주어야 하는 게 아닐까요? ≪김성동, 만다라≫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바로잡다'
[순우리말]

[동사]

1. 굽거나 비뚤어진 것을 곧게 하다.
2. 그릇된 일을 바르게 만들거나 잘못된 것을 올바르게 고치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바로잡다'를 찾고 깜짝 놀랬다.
이게 하나의 단어였다니...

나는 당연히
'바로+잡다' 로 이루어진 단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합성어도 아니고 그 자체로 순우리말인 단어가 '바로잡다'라니 신기할 뿐이다.

'잡다'의 20번째 뜻으로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굽거나 잘못된 것을 바르게 만들다. 가 있다.
그리고
'바로2'의 부사-1. 비뚤어지거나 굽은 데가 없이 곧게. 라는 뜻이 있다.

그래서 나는 '바로+잡다'라고 생각하고
바로 v 잡다 라고 표기해야할 것 같았다.

그런데 '바로잡다'가 하나의 단어였다니
정말 충격이다.

관련 출처:

바로: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잡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보자!

문제

1번 회의에서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의견을 냈다. (O)

vs

2번 회의에서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해 의견을 냈다. (X)

 

정답은 1번 회의에서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의견을 냈다. 이다.

 

바로잡다 (O)

바로 잡다 (X)


 

진짜 생각보다 잘못 사용하고 있는 단어가 많겠구나 싶었다.

 

'바로잡다'가 하나의 단어일 줄이야!

그리고 나는 그 뜻을 나만의 상상으로 조합하고 있었다ㅜㅜ

뜻을 보니 아주 서로 다른 단어는 아닐 것 같긴 한데

어원이 궁금하긴 하다 ^^ ㅋ

 

이제는 '바로V잡다'가 아니라

'바로잡다'로 바르게 써보자!

 

오늘의 정리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