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1번 이 모임에 으스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vs
2번 이 모임에 으시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1번 으스대다?
2번 으시대다?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으스대다
「동사」
어울리지 아니하게 우쭐거리며 뽐내다.
- 아무개를 아느냐고 할 때 “오, 그 사람? 잘 알고말고, 나하곤 막역한 사이지. 거 학창 시절엔 그렇고 그런 친군데…….” 하면서 자기만큼 그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없다는 듯이 으스대는 사람이 간혹 있다. ≪법정, 무소유≫
- 품위 있는 주택가 한가운데까지 파고들 수 있었던 건 일본 상류층 자제들과의 폭넓은 교우 관계 덕이라고 으스대길 잘했다. ≪박완서, 미망≫
> 한 걸음 더
- ‘으스대다’가 표준어이고 ‘으시대다’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17항)에 따른 것이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으스대다'
[동사]
[순우리말]
어울리지 아니하게 우쭐거리며 뽐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온 한 걸음 더를 읽으면
왜 '으스대다'가 표준어이고 '으시대다'가 비표준어인지 알 수 있다.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표준어 사정 원칙 제17항에 의하여
으스대다 (표준어)
으시대다 (비표준어)
로 정리할 수 있다.
'으시대다'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하면
으시대다->으스대다. 이렇게 나와있다.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으시대다'가 잘못된 표현이니 옳은 표현인 '으스대다'를 찾아보아라는 의미이다.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이 모임에 으스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O)
vs
2번 이 모임에 으시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X)
정답은 1번 이 모임에 으스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이다.
으스대다 (O)
으시대다 (X)
발음이 유사해서 정말 헷갈릴 수 있지만
표준어는 '으스대다'라는 사실!
잊지 말고 기억하자 ^^
'으스대다'를 활용하여 문장을 몇 개 만들어보자!
1. 그는 친구들 앞에서 으스대며 자신의 성적을 자랑했다.
2. 새로 산 차를 타고 다니며 으스대는 모습이 보기 좋지 않았다.
2. 동생이 으스대며 자기가 그린 그림을 보여주었다.
오늘은 '으스대다'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으시대다'로 사용하지 않고 '으스대다'로 바르게 사용하기!
기억해야지 :)
반응형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뻑적지근하다vs뻐지근하다, 무엇이 옳을까요? (1) | 2025.04.07 |
---|---|
사글세vs삭월세,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5.03.31 |
배멀미vs뱃멀미,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5.03.20 |
가르마vs가름마,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5.03.14 |
신박하다, 무슨 뜻일까요? (0)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