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으스대다vs으시대다, 무엇이 옳을까요?

by 행복한쥬이 2025. 4. 2.
반응형

문제

1번 이 모임에 으스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vs

2번 이 모임에 으시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1번 으스대다?

2번 으시대다?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으스대다

「동사」

어울리지 아니하게 우쭐거리며 뽐내다.

  • 아무개를 아느냐고 할 때 “오, 그 사람? 잘 알고말고, 나하곤 막역한 사이지. 거 학창 시절엔 그렇고 그런 친군데…….” 하면서 자기만큼 그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없다는 듯이 으스대는 사람이 간혹 있다. ≪법정, 무소유≫
  • 품위 있는 주택가 한가운데까지 파고들 수 있었던 건 일본 상류층 자제들과의 폭넓은 교우 관계 덕이라고 으스대길 잘했다. ≪박완서, 미망≫

> 한 걸음 더

  • ‘으스대다’가 표준어이고 ‘으시대다’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17항)에 따른 것이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으스대다'
[동사]
[순우리말]
어울리지 아니하게 우쭐거리며 뽐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온 한 걸음 더를 읽으면
왜 '으스대다'가 표준어이고 '으시대다'가 비표준어인지 알 수 있다.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표준어 사정 원칙 제17항에 의하여

으스대다 (표준어)
으시대다 (비표준어)

로 정리할 수 있다.

'으시대다'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하면
으시대다->으스대다. 이렇게 나와있다.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으시대다'가 잘못된 표현이니 옳은 표현인 '으스대다'를 찾아보아라는 의미이다.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이 모임에 으스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O)

vs

2번 이 모임에 으시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X)

 

정답은 1번 이 모임에 으스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 이다.

 

으스대다 (O)

으시대다 (X)

 

 


발음이 유사해서 정말 헷갈릴 수 있지만

표준어는 '으스대다'라는 사실!

잊지 말고 기억하자 ^^

 

'으스대다'를 활용하여 문장을 몇 개 만들어보자!

 

1. 그는 친구들 앞에서 으스대며 자신의 성적을 자랑했다.

2. 새로 산 차를 타고 다니며 으스대는 모습이 보기 좋지 않았다.

2. 동생이 으스대며 자기가 그린 그림을 보여주었다.

 

오늘은 '으스대다'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으시대다'로 사용하지 않고 '으스대다'로 바르게 사용하기!

기억해야지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