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사글세vs삭월세, 무엇이 옳을까요?

by 행복한쥬이 2025. 3. 31.
반응형

문제

1번 사글세가 비싸다.

vs

2번 삭월세가 비싸다.

 

1번 사글세?

2번 삭월세?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사글세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명사」

「1」 집이나 방을 다달이 빌려 쓰는 일. 또는 그 돈. =월세.

  • 사글세를 내다.
  • 사글세를 받다.

「2」 다달이 돈을 내고 빌려 쓰는 방이나 집. =월세.

  • 사글세를 살다.
  • 우리 부부는 돈이 없어 사글세로 방 하나를 얻어 신접살림을 시작했지만 어느 부부보다도 행복했다.

> 한 걸음 더

·‘사글세’가 표준어이고 ‘삭월세’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널리 쓰이는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5항)에 따른 것이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사글세''월세'와 같은 말이다.
1. 집이나 방을 다달이 빌려 쓰는 일. 또는 그 돈.
2. 다달이 돈을 내고 빌려  쓰는 방이나 집.

'삭월세'는 위에도 나와 있듯이 비표준어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삭월세'를 검색하면
'사글세'를 찾아보아라고 나와 있다.
삭월세 -> 사글세
그럼 왜 '사글세'가 표준어이고 '삭월세'가 비표준어가 된 것일까?

'삭월세는 한자로 '삭(削)'과 '월세(月貰)'를 결합한 표현이다.

'삭'은 초하루를 의미하며, '월세'는 매달 내는 임대료를 뜻한다.

'삭월세'는 매달 초하루에 선불로 내는 월세를 의미한다.

'삭월세'는 원래 195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하지만

1960년대 연음현상으로 인해 '삭월세'가 '사글세'로 변형되어 정착하였다.

여기서 '연음현상'이란?

발음의 편의성 때문에 단어가 변형되는 경우로

'삭월세'에서 '삭'과 '월'이 연결되면서 '사글세'로 변화된 것을 의미한다.

 

표준어 규정 2장 1절 5항에 의하면

‘삭월세’에서 온 말이나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사글세’로 널리 쓰이므로, ‘사글세’만 표준어로 삼는다.

사글세’의 의미로 ‘삯월세’가 쓰이는 경우가 있으나

‘사글세’만 표준어로 삼는다.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사글세가 비싸다. (O)

vs

2번 삭월세가 비싸다. (X)

 

정답은 1번 사글세가 비싸다. 이다.

 

사글세 (O)

삭월세 (X)


'사글세'를 활용해 문장을 만들어 보자!

1. 대학생인 그녀는 사글세로 방을 구해 학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2. 사글세로 살면서도 꾸준히 저축하여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었다.

3. 사글세가 저렴한 집을 찾는 것이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려워졌다.

 

 

오늘은 '사글세'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옛날과 지금의 '사글세'를 비교하면
정말 많이 올랐다.

늘 생각하지만
월급 빼고 다 오르는 것 같은 건
내 기분 탓일까? ㅋㅋ
4월이 되면 라면, 과자, 유제품 등 식품 가격이 인상된다고 한다.
내 월급은 안 올랐는데...
올랐다하더라도
물가가 올라간 만큼 비례상승하지 않는 ㅜㅜ
이 안타까운 사실...

그래도 돈을 벌 수 있음에 감사하다는 생각을 하며
열심히 매일을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해 본다.

오늘의 정리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