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멀찍이vs멀찌기, 무엇이 옳을까요?

by 행복한쥬이 2025. 3. 8.
반응형

문제

1번 멀찍이에서 쫓아갔다.

vs

2번 멀찌기에서 쫓아갔다.

 

멀찍이?

멀찌기?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멀찍이

발음 [멀찌기]

「부사」

사이가 꽤 떨어지게. =멀찌감치.

  • 어머니는 아버지의 뒤를 멀찍이 따라오셨다.
  • 방에서 나온 길상은 멀찍이 공 노인을 끌고 갔다. ≪박경리, 토지≫

> 한 걸음 더

·‘멀찍이’와 ‘멀찌가니’와 ‘멀찌감치’는 모두 표준어이다. 이는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6항)에 따른 것이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멀찍이에서 쫓아갔다. (O)

-> 1번 멀찍이(사이가 꽤 떨어지게)에서 쫓아갔다.

vs

2번 멀찌기에서 쫓아갔다. (X)

 

정답은 1번 멀찍이에서 쫓아갔다. 이다.

 

멀찍이 (O)

멀찌기 (X)

 

'멀찍이'의 발음이 [멀찌기]이다.

'멀찍이'를 들리는 대로 쓰면 '멀찌기'로 쓰게 된다.

하지만 '멀찌기'는 잘못된 표현이다.


'멀찌감치'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다.

★멀찌감치

 

「부사」

사이가 꽤 떨어지게. ≒멀찌가니, 멀찍이.

  • 멀찌감치 도망가다.
  • 그는 여자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멀찌감치 물러앉았다.
  • 여인이 나타나자 아이들은 멀찌감치 물러서서 두 사람을 엿보고 있었다. ≪최인호, 지구인≫
  • 두 내외는 피차에 얼굴을 마주 보기가 싫어서 외면들을 하고 멀찌감치 떨어져서 걸었다. ≪염상섭, 댄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사이가 꽤 떨어지게.'라는 뜻을 가진 단어는
'멀찍이, 멀찌감치, 멀찌가니' 이렇게 3단어이다. 
세 단어를 사이좋게 번갈아가며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오늘은 '멀찍이'에 대해 정리하면서 같은 뜻을 가진
다른 단어 '멀찌감치'와 '멀찌가니'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아는 만큼 단어도 더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 같다.

오늘의 정리 끝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