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1번 그 사건은 화제거리가 되었다.
vs
2번 그 사건은 화젯거리가 되었다.
1번 화제거리?
2번 화젯거리?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화젯거리
「명사」
이야깃거리가 될 만한 소재.
- 장안의 화젯거리.
- 곽 씨와 어린 식모와의 싸움은 그 뒤에도 우리 사이에서 한동안 심심치 않게 화젯거리가 되었는데…. ≪이호철, 소시민≫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화젯거리'
한자어+순우리말로 이루어진 합성어.
[명사]
이야깃거리가 될 만한 소재.
'화제거리'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봤지만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그 사건은 화제거리가 되었다. (X)
vs
2번 그 사건은 화젯거리가 되었다. (O)
옳은 문장은 2번 그 사건은 화젯거리가 되었다. 이다.
화제거리 (X)
화젯거리 (O)
왜 이렇게 되는지 한자어+고유어로 이루어진 합성어의 규칙을
찾아보았다.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에 의하면
1. 순우리말이 포함된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 앞에서
소리가 덧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
2. 예를 들면 '화젯거리'는 발음이 [화제꺼리/화젣꺼리]로 나므로
뒷말의 첫소리 앞에 소리가 덧나고 있다.
그러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
늘 헷갈리는 내용이다 ㅠㅠ
어쨌든,
이러한 이유로 '화제거리'가 아니라 '화젯거리'로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말고 기억하자 ^^
그럼 오늘의 정리 끝!
반응형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숟갈, 무슨 뜻일까요? (0) | 2024.01.20 |
---|---|
술, 첫술, 한술, 막술, 무슨 뜻일까요? (0) | 2024.01.19 |
시치다vs스치다, 무엇이 옳을까요? (2) | 2024.01.16 |
계제vs게제,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4.01.07 |
쉽상vs십상, 무엇이 옳을까요? (1) | 2024.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