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코끼릿과의 화석 포유류. 몸의 길이는 4미터 정도이며, 털로 덮였고 굽은 엄니가 있다. 4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까지 생존하였던 동물로, 시베리아에서 화석으로 발견된다.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고상,마몬트,원상.(Mammuthus primigenius)
<a href="https://pixabay.com/ko//?utm_source=link-attribution&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image&utm_content=6279983">Pixabay</a>로부터 입수된 <a href="https://pixabay.com/ko/users/gdj-1086657/?utm_source=link-attribution&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image&utm_content=6279983">Gordon Johnson</a>님의 이미지 입니다.<a href="https://pixabay.com/ko//?utm_source=link-attribution&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image&utm_content=57262">Pixabay</a>로부터 입수된 <a href="https://pixabay.com/ko/users/shirley810-9355/?utm_source=link-attribution&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image&utm_content=57262">Shirley Hirst</a>님의 이미지 입니다.
Mammoth, 매머드, 맘모스 두 가지 표현 둘 다 옳은 표현이라고 생각했는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을 하니 '맘모스→매머드' 라고 나와 있었다. 이 말은 '맘모스' 가 잘못된 표현이니 '매머드' 를 찾아 검색하라는 말! 그럼 왜 우리는 '맘모스' 라는 단어를 사용하였을까? 더 알아보았다.
★매머드의 이름
출처: 나무위키
1차적으로러시아어마몬트(Мамонт)[3]가 어원으로, 더 거슬러 올라가면 어원에 대해서 여러 설이 있지만우랄어족언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어로는 매머드가 국립국어원에서 지정한 표준 표기이다. 영어로 mammoth의실제 발음은 [ˈmæməθ]여서 이를 영어의 한글 표기법대로 표기하면매머스에 가깝다. 본래 th의 한글 표기는 무성음 [θ]로 발음될 때는 '스', 유성음 [ð]로 발음될 때는 '드'로 적어야 하는데 한글 표기를 개정할 때 mammoth의 th[θ] 발음을 유성음으로 착각하여 '드'로 정했다가 그대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어와 독일어는 같이 Mammut를 쓰는데 둘다 복수 m을 1번만 처리하기 때문에 마무트로 발음한다.(이탈리아어,독일어) 프랑스어도 '마무트(mammouth)'에 가깝게 발음한다.[4]중국어는 용맹한 코끼리라는 의미인 '멍마샹(猛獁象)'이며 일본어로는 '만모스'(マンモス)인데 한국어의 맘모스는 여기서 유래하였으며 지금도 맘모스로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