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1번 눈곱 좀 떼어라.
vs
2번 눈꼽 좀 떼어라.
1번? 눈곱?
2번? 눈꼽?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눈곱
발음 [눈꼽]
「명사」
「1」 눈에서 나오는 진득진득한 액. 또는 그것이 말라붙은 것. ≒곱, 안지.
- 눈곱이 끼다.
- 눈곱을 떼다.
- 세수하면서 눈곱을 닦다.
「2」 아주 적거나 작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는 이 집에 눈곱만큼의 미련도 없다.
「참고 어휘」발곱, 손곱
'눈곱'
-눈에서 나오는 진득진득한 액. 또는 그것이 말라붙은 것. = 곱, 안지
-아주 적거나 작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세상에 '눈곱' 이 옳은 표현이라니... >O<
'눈꼽' 으로 잘못 알고 있었던 건 발음 때문이라는 것을
사전 검색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발음은 [눈꼽], 하지만 표기는 '눈곱' !
꼭 기억해야겠다.
앞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눈곱 좀 떼어라. (O)
vs
2번 눈꼽 좀 떼어라. (X)
정답은 바로 1번 눈곱 좀 떼어라. 이다.
글을 쓰고 있는데, 아들이 옆에 와서 글을 읽더니
엄마 당연히 '눈꼽' 이 정답이지 라고 말을 하였다.
그래서 대답했다.
"엄마도 그런 줄 알았는데, 읽을 때는 [눈꼽] 이라고 읽고
쓸 때는 눈곱이라고 쓰는거야." 라고 알려주었다. ㅋ
참고 어휘에 나온 '발곱' 과 '손곱' 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발곱
발음[발꼽]
「명사」
발톱 밑에 끼어 있는 때.
- 발을 얼마나 안 씻었는지 발곱이 새까맣게 끼어 있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발톱 밑에 끼어 있는 때를 '발곱' 이라고 하다니!
그냥 발톱 밑에 때 좀 제거해라고 말을 했었는데
그 부위를 일컫는 단어가 있을 줄은 생각도 못했다.
★손곱
발음[손꼽]
「명사」
손톱 밑에 끼어 있는 때.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손톱 밑에 끼어 있는 때 '손곱'
이렇게 검색을 하니 갑자기 '손에 꼽는다.' 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 같은데,
정확히 무슨 단어인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찾아보았다.
★손꼽다
「동사」
1
「1」 손가락을 하나씩 고부리며 수를 헤아리다.
- 동생은 손꼽으며 더하기를 하고 있다.
- 할아버지의 연세를 손꼽아 세다.
「2」 많은 가운데 다섯 손가락 안에 들 만큼 뛰어나거나 그 수가 적다.
- 그 나라는 세계에서 손꼽을 수 있는 면화 생산국이다.
- 철거민들을 위해서 지었다는 아파트에는 진짜 철거민들이 불과 손꼽을 정도라는군.≪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2 【…을 …으로】
여럿 중에서 뛰어나다고 여기다.
- 스포츠 해설가들은 만장일치로 그를 가장 위대한 농구 선수로 손꼽고 있다.
- 내가 본받을 만한 위인으로 손꼽는 사람은 결코 위대한 학자이거나 장군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이다.
*관용구: 손꼽아 기다리다
기대에 차 있거나 안타까운 마음으로 날짜를 꼽으며 기다리다.
· 손꼽아 기다리는 일.
· 그는 제대할 날을 손꼽아 기다렸다.
오늘 눈곱, 발곱, 손곱, 손꼽다
이렇게 4개의 단어를 정리해보았다.
눈곱(O)
눈꼽(X)
이제 헷갈리지 말자!
반응형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하다, 무슨 뜻일까요? (2) | 2022.09.24 |
---|---|
쟁여 놓다vs쟁겨 놓다, 무엇이 옳을까요? (1) | 2022.09.18 |
제끼다vs재끼다vs제치다, 무엇이 옳을까요? (1) | 2022.09.16 |
젖히다vs제끼다, 무엇이 옳을까요? (2) | 2022.09.16 |
한가락vs한가닥, 무엇이 옳을까요? (2) | 2022.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