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1번 우리 팀은 상대 선수를 가볍게 제끼고 우승했다.
vs
2번 우리 팀은 상대 선수를 가볍게 재끼고 우승했다.
vs
3번 우리 팀은 상대 선수를 가볍게 제치고 우승했다.
1번? 제끼다?
2번? 재끼다?
3번? 제치다?
이 문장에서 과연 옳은 표현은 어떤 단어일까?
함께 알아보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재끼다
발음[재끼다]
「보조 동사」
((동사 뒤에서 ‘-어 재끼다’ 구성으로 쓰여))
일을 솜씨 있게 쉽게 처리하거나 빠르게 해 버림을 나타내는 말.
- 그는 일을 앞에 두고는 견디지 못하는 성미인지라 무슨 일이든지 잘 해 재낀다.
- 그 많은 일을 하루 만에 해 재끼고 나서는 또 일을 찾고 있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재끼다'
[보조 동사]
*지난번에 [보조 동사] '젖히다' 에 대해서 정리했었다.
((동사 뒤에서 ‘-어 재끼다’ 구성으로 쓰여))
일을 솜씨 있게 쉽게 처리하거나 빠르게 해 버림을 나타내는 말.
★제치다
발음[제치다]
「동사」
【…을】
「1」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 그 선수는 양옆에서 달려드는 상대 선수들을 제치고 골을 넣었다.
- 여러 장을 제치고 나서 영숙이는 소리판 한 장을 들고 물끄러미 들여다보았다.≪주요섭, 아네모네의 마담≫
「2」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 어떻게 나를 제쳐 두고 너희들끼리 놀러 갈 수 있니?
「3」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 신생 중소기업이 선두를 유지하던 대기업을 제쳤다.
- 우리 편이 상대편을 가볍게 제치고 3연승을 올렸다.
「4」 일을 미루다.
- 그는 제집 일을 제쳐 두고 남의 집 일에 발 벗고 나선다.
- 조정에서는 굶주리고 병든 백성을 활인하기 위한 구휼미를 내리는 것은 제쳐 두고, 지방 수령들을 다그쳐서 각 절간에 젯메쌀을 거두어 보내는 데에만 급급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가 보아서 조금만 감세가 계시면 백사를 제치고 갈 터이니, 전처럼 먼 길에 마중은 나오지 마십시오.≪심훈, 상록수≫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제치다'
[동사] 4가지의 뜻이 있었다.
-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 일을 미루다.
지난 시간 정리했던 '젖히다' 의 잘못된 표기로 '제끼다' 가 있었다.
그런데 오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을 하니
'제치다' 가 '젖히다' 의 잘못된 표기임을
알려주고 있었다.
(우리말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찾을 수 있었다.)
★제끼다
'젖히다' 의 잘못된 표기
그럼 앞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우리 팀은 상대 선수를 가볍게 제끼고 우승했다. (X) -'제끼다' 규범 표기가 아님
vs
2번 우리 팀은 상대 선수를 가볍게 재끼고 우승했다. (X)-'재끼다' 의미에 맞지 않음vs
3번 우리 팀은 상대 선수를 가볍게 제치고 우승했다. (O)- '제치다' 「3」 뜻으로 사용됨.
문제의 문장에서 문맥에 맞게 알맞게 사용한 표현은
3번 우리 팀은 상대 선수를 가볍게 제치고 우승했다. 이다.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는 의미로 사용했기에 '제치다' 를 사용해야 맞다.
단어들이 다 비슷하게 생겨서 잘 구분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제끼다' 단어는 없다. (잘못된 표기)
2. 보조 동사 '재끼다' 뜻에 맞게 사용하기
3. 동사 '제치다' 뜻에 맞게 사용하기/ '젖히다' 의 잘못된 표기로 사용하지 않기
오늘의 정리 -끝-
반응형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쟁여 놓다vs쟁겨 놓다, 무엇이 옳을까요? (1) | 2022.09.18 |
---|---|
눈곱vs눈꼽,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9.18 |
젖히다vs제끼다, 무엇이 옳을까요? (2) | 2022.09.16 |
한가락vs한가닥, 무엇이 옳을까요? (2) | 2022.09.16 |
번쩍번쩍하다vs삐까번쩍하다,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