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곪다vs곯다, 무엇이 다를까요?

by 행복한쥬이 2025. 2. 24.
반응형

문제

1번 그 사람은 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마음이 곪고 지쳐 보였다.

vs

2번 그 사람은 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마음이 곯고 지쳐 보였다.

 

1번 곪고? (곪다)

2번 곯고? (곯다)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곪다

「동사」

「1」 상처에 염증이 생겨 고름이 들게 되다.

  • 상처가 곪다.
  • 상처가 곪아서 고름이 났다.
  • 나중에 곪으면 고생을 하니 지금 잘 소독해라.
  • 그는 상처가 속으로 깊숙이 곪게 되어 수술을 해야만 했다.
  • 그의 오른쪽 넓적다리에는…지렁이가 기어간 듯한 파편 맞은 상처가 여름 내내 진물을 내며 곪고 있었는데…. ≪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비슷한말」 농들다(膿들다) (곪아서 고름이 생기다)/ 한자어+고유어

 

「2」 (비유적으로) 내부에 부패나 모순이 쌓이고 쌓여 터질 정도에 이르다.

  • 곪을 대로 곪은 사회.
  • 이번 사건은 두 파 간의 뿌리 깊은 갈등이 곪아 터진 결과였다.
  • 차차 알고 본즉 집안 형편이 또한 말씀이 아닐 정도로 속이 곪아 있었다. ≪심훈, 영원의 미소≫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곪다'
[동사]
[순우리말]
1. 상처에 염증이 생겨 고름이 들게 되다.
2. (비유적으로) 내부에 부패나 모순이 쌓이고 쌓여 터질 정도에 이르다.




★곯다1

「동사」

「1」 속이 물크러져 상하다.

  • 달걀 곯은 냄새.
  • 홍시가 곯아서 먹을 수가 없다.
  • 참외가 속으로 곯아서 만져 보면 물컹거린다.
  • 어머니는 떨어진 포대기로 땡감 든 항아리를 꼭꼭 덮어 가며, “손대지 말아야 한다. 바람 들어가면 곯으니까, 응?” 하고 신신당부했었다. ≪유현종, 들불≫

「2」 (비유적으로) 은근히 해를 입어 골병이 들다.

  • 객지 생활을 오래 해서 몸이 많이 곯았다.
  • 이 세상의 실정을 살펴보면, 곯는 것은 양심 있는 사람뿐이요, 악을 자행하는 사람일수록 득세를 하고 부자가 된다. ≪이희승, 먹추의 말참견≫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

stdict.korean.go.kr


'곯다'
[동사]
[순우리말]
1. 속이 물크러져 상하다.
2. (비유적으로) 은근히 해를 입어 골병이 들다.

'곪다', '곯다'

두 단어가 생김새가 비슷하다.

그런데 뜻도

썩었다. 부패했다. 상하다. 고름이 든다. 등의 의미로

자세히 살펴보지 않으면

크게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도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그 사람은 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마음이 곪고 지쳐 보였다. (X)

vs

2번 그 사람은 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마음이 곯고 지쳐 보였다. (O)

-> 그 사람은 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마음이

곯고 ((비유적으로) 은근히 해를 입어 골병이 들어)

지쳐 보였다.

 

위의 문장에서 옳은 표현은 '곪다'가 아니라 '곯다'를 사용해야 한다.


 

★'곪다'를 활용한 문장을 더 만들어 보자!

1. 그 상처가 곪아서 통증이 심해졌다.
2. 오랜 시간 방치한 상처가 곪아버렸다.
3. 곪은 부위는 즉시 치료해야 한다.
4. 곪은 사회에서 앞으로 살아낼 수 있을까?

 

★'곯다'를 활용한 문장을 더 만들어 보자!

1. 과일이 너무 오래 방치돼서 곯아버렸다.
2. 식탁 위의 음식이 곯아서 버려야 했다.
3. 곯은 배추로 김치를 담그면 맛이 좋지 않다.
4. 곯은 내 몸을 이끌고 병원으로 향했다.

오늘은 '곪다'와 '곯다'를 정리해 보았다.
비슷하게 생겼고
뜻도 비슷하게 보이지만
사실 다르다는 것!
기억하면서 구별하여 잘 사용해야겠다.

'곪다'는 상처(고름이 터지다), 내부 모순을 기억하고
'곯다'는 음식이 상하다, 골병이 들다를 기억하면
'곯다'와 '곯다'를 쉽게 구분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오늘의 정리 끝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