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1번 새 신발에 개개어서 발뒤꿈치가 벗겨졌다.
vs
2번 새 신발에 개기어서 발뒤꿈치가 벗겨졌다.
1번 개개어서?
2번 개기어서?
둘 중 올바른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개개다
「동사」
「1」 【…에】 자꾸 맞닿아 마찰이 일어나면서 표면이 닳거나 해어지거나 벗어지거나 하다.
- 구두 뒤축에 개개어서 뒤꿈치의 살가죽이 벗어졌다.
- 소의 등에는 무거운 짐에 개갠 자국이 허옇게 나 있었다.
「2」 【…에게】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
- 비빌 언덕이 따로 있지 능력도 없는 나에게 개갤 거야?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개개다'
[순우리말]
[동사]
1. 자꾸 맞닿아 마찰이 일어나면서 표면이 닳거나 해어지거나 벗어지거나 하다.
2.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
그럼 '개기다'는 무슨 뜻일까?
★개기다
「동사」
(속되게)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
- 하라면 할 것이지. 지금 나한테 개기는 것이냐?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개기다'
[순우리말]
[동사]
(속되게)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
그럼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개개다'와 '개기다'의 뜻 모두를 확인했으니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문제
1번 새 신발에 개개어서 발뒤꿈치가 벗겨졌다. (O)
vs
2번 새 신발에 개기어서 발뒤꿈치가 벗겨졌다. (X)
정답은 1번 새 신발에 개개어서 발뒤꿈치가 벗겨졌다. 이다.
개개어서/개개다 (O)
개기어서/개기다 (X)
위의 문제에서 뜻을 살펴보았을 때 들어가야 할 단어는
'개개다'이다.
'개개다' 의 두 번째 뜻과
'개기다'의 뜻이 다소 비슷한 듯 보이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으니
구별해서 사용해야 할 것이다.
사실 '개기다'라는 단어는 알고 있었지만
이게 순우리말이고, 표준어일 줄은 몰랐다.
그리고 '개개다'는 처음 듣는 단어라
생소했다.
오늘 '개개다'와 '개기다'를 정리했으니
앞으로는 상황에 맞게 잘 구분해서 사용해야겠다.
끝!
반응형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래요vs퍼레요, 무엇이 옳을까요? (2) | 2024.02.24 |
---|---|
포도시, 무슨 뜻일까요? (2) | 2024.02.24 |
미끌어지다vs미끄러지다, 무엇이 옳을까요? (2) | 2024.02.18 |
다붓이, 무슨 뜻일까요? (0) | 2024.02.17 |
멀다랗다vs머다랗다, 무엇이 옳을까요? (1) | 2024.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