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저만큼vs저만치, 무엇이 옳을까요?

by 행복한쥬이 2022. 10. 8.
반응형

 

문제

1번 저만큼 멀리 가라.

vs

2번 저만치 멀리 가라.

 

1번 저만큼?

2번 저만치?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저만큼

[Ⅰ] 「부사」

「1」 저만한 정도로. ≒저만치.

  • 신입 사원이 저만큼 일을 해 주니 그나마 다행이다.

「2」 저쯤 떨어진 곳으로. ≒저만치.

  • 그들은 춘광이를 파수로 세워 놓고 저만큼 깊은 데로 들어가서 미역을 감고 있었다.≪이기영, 봄≫

[Ⅱ] 「명사」

「1」 저만한 정도. ≒저만치.

  • 저에게도 저만큼을 주세요.
  • 그는 자기에게도 저만큼의 잘못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2」 저쯤 떨어진 곳. ≒저만치.

  • 형태는 저만큼에서 고개를 오르기 위해 샛길로 접어드는 게 상호임을 한눈에 알아보았다.≪한수산, 유민≫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sLink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저만큼' 
[Ⅰ] 「부사」
「1」 저만한 정도로. ≒저만치.
「2」저쯤 떨어진 곳으로. ≒저만치.
[Ⅱ] 「명사」
「1」 저만한 정도. ≒저만치.
「2」저쯤 떨어진 곳. ≒저만치.

'저만큼'
[부사] 와 [명사], 각각의 뜻이 존재했다.
의미는 비슷했다.
품사적으로 문장에서 부사와 명사로 동시에 쓰일 수 있는 단어였다.

★저만치

[Ⅰ] 「부사」

「1」 저만한 정도로. =저만큼.

나도 술을 저만치 마실 수 있다.

  • 그는 저만치 떨어져서 이쪽을 보고 있었다.
  • 저만치 위로 탱자 울이 길게 처져 있었고, 감나무밭 사이로 기와집이 보였다.≪김원일, 불의 제전≫

「2」 저쯤 떨어진 곳으로. =저만큼.

  • 저만치 가 있어라.

[Ⅱ] 「명사」

「1」 저만한 정도. =저만큼.

  • 조금만 더 쌓으면 저만치는 될 수 있겠다.

「2」 저쯤 떨어진 곳. =저만큼.

  • 저만치에서 아이가 오는 모습이 보인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저만치'
[Ⅰ] 「부사」
「1」 저만한 정도로. =저만큼.
「2」저쯤 떨어진 곳으로. =저만큼.
[Ⅱ] 「명사」
「1」저만한 정도. =저만큼.
「2」저쯤 떨어진 곳. =저만큼.

'저만치' 는 '저만큼' 과 같은 뜻이었다.
즉 그 말은 '저만치' 와 '저만큼' 은 복수 표준어 관계라는 사실이다.

사실 이렇게 알아보기 전에
'저만치' 는 사투리이고 '저만큼' 이 옳은 표현일거라고 생각했다.
시골 어르신들이
'저만치' 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시는 걸 들어서 그랬는지 사투리라고 생각했는데
표준어였다니 그래서 놀랬다.
혹시나 싶어 우리말샘에 '저만치' 를 검색하니 '저만치스럽다' 는 단어에 대한 뜻이 나와 있었다.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저만치스럽다' 전남 방언으로 마음이나 기분에 거슬리는 데가 있다. 라는 뜻이었다.
그래서 어르신들에게 많이 듣긴 들었던 단어가 맞는데,
뜻은 전혀 예상했던 것과는 달라서 ... 많이 당황스러웠다.


앞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저만큼 멀리 가라. (O)

vs

2번 저만치 멀리 가라. (O)

 

저만큼 (O)

저만치 (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저만큼' 과 '저만치' 를 검색하면서

「참고 어휘」그만큼, 이만큼, 조만큼

「참고 어휘」그만치, 이만치, 조만치

참고 어휘에 대해 알게 되었다.

그리고 궁금해졌다.

 

저만큼, 그만큼, 이만큼, 조만큼

저만치, 그만치, 이만치, 조만치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인지..

그래서 일단 먼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았다.


★그만큼/ 그만치

[Ⅰ] 「부사」

그만한 정도로. ≒그만치./ 그만큼

Ⅱ] 「명사」

그만한 정도. ≒그만치. / 그만큼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 이만큼/ 이만치

[Ⅰ] 「부사」

이만한 정도로. ≒이만치./이만큼

[Ⅱ] 「명사」

이만한 정도. ≒이만치./이만큼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조만큼/조만치

[Ⅰ] 「부사」

조만한 정도로. ≒조만치. /조만큼

[Ⅱ] 「명사」

조만한 정도. ≒조만치. /조만큼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뜻이 나와 있긴 했는데
설명이 그만한, 이만한, 조만한 정도라고 설명을 하니 
어떻게 구분을 해야 하는지
단어간의 서열도 없고
그냥 혼용해서 써도 되는 건지 궁금해졌다.

저만한/저만치
그만한/그만치
이만한/이만치
조만한/조만치

실제 사용했던 경험으로 인해 단어의 이미지가 눈에 그려지지만
어떤 상황에서 각각 구별해서 써야하는건가?
그런 의문이 들었다.
그래도 그냥 내 생각은
정확한 건 아니지만 큰 구분 없이 써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
저만하다, 그만하다, 이만하다, 조만하다. 의 뜻도 구분하기가 어렵다.

정도가 저러하다
정도가 그러하다
정도가 이러하다
정도가 조러하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해 정확히 아시는 분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저만큼' 과 '저만치' 가 복수 표준어라는 사실과 함께
이와 비슷한 단어로 그만큼/그만치, 이만한/이만치, 조만한/조만치가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우리말 소중하게 사용하기! 약속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