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이따 vs 있다, 어떻게 써야 옳을까요?

by 행복한쥬이 2022. 5. 22.
반응형

문제

1. 이따가 보자.

2. 있다가 보자.

 

이따? 있다?

1번과 2번 중 무엇이 옳을까?

함께 알아보자!


 


★이따

부사」

조금 지난 뒤에. =이따가.

  • 너 이따 나 좀 보자.
  • 자세한 얘기는 이따 만나서 합시다.
  • 난 먼저 이따 오후 세 시 반 배로 떠날 생각이에요.≪안정효, 하얀 전쟁≫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있다

[Ⅰ] 「동사」

1 【…에】

「1」 사람이나 동물이 어느 곳에서 떠나거나 벗어나지 아니하고 머물다.

  • 내가 갈 테니 너는 학교에 있어라.
  • 그는 내일 집에 있는다고 했다.

「높임말」 계시다

「2」 사람이 어떤 직장에 계속 다니다.

  • 딴 데 한눈팔지 말고 그 직장에 그냥 있어라.

2 【-게】 ((‘-게’ 대신에 ‘-이/히’ 부사 따위나 다른 부사어가 쓰이기도 한다))

사람이나 동물이 어떤 상태를 계속 유지하다.

  • 떠들지 말고 얌전하게 있어라.
  • 가만히 있어라.
  • 우리 모두 함께 있자.
  • 모두 손을 든 상태로 있어라.

3

얼마의 시간이 경과하다.

  • 앞으로 사흘만 있으면 추석이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있다' 의 검색 결과가 엄청 많지만 오늘 내용과 관련 있는 부분만 적어보았다.
'이따'조금 지난 뒤에, 시간의 경과를 포함하고 있다.
'있다'얼마의 시간이 경과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있다.

앞에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 이따가 보자. (O)
2. 있다가 보자. (X)

'조금 지난 뒤에 보자' 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따가 보자.' 라고 써야 옳다.

 

 

그리고 '이따' 와 '있다' 를 구별하기 위해

찾다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따'와 '있다'는 뜻이 다릅니다.

'이따'는 '이따가'와 같은 부사로 '조금 지난 뒤에'라는 뜻입니다. '너 이따 나 좀 보자', '자세한 이야기는 이따 만나서 하자' 등이 그 예입니다.

'있다'는 '얼마의 시간이 경과하다'의 뜻의 동사입니다. '배가 아팠는데 조금 있으니 괜찮아지더라.', '사흘만 있으면 추석이다' 등이 그 예입니다.

'좀 이따가 갈게'는 '좀 조금 지난 뒤에 볼게'라는 의미가 되어 '조금'이라는 의미가 중복됩니다. 그러나 '이따가 보자'라는 표현은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좀'과 함께 쓰실 때에는 '좀 있다가 갈게'라고 쓰시면 됩니다.

고맙습니다.


-----답변 덧붙임-----
'조금 지난 뒤에 갈게'의 뜻은 부사 '이따가'를 써서 '이따가 갈게'로 표현하는 것이 알맞습니다.
"(여기에) 좀 있다가 갈게."라는 표현에는, 결과적으로 시간의 경과와 관련이 있게 되는, "사람이나 동물이 어느 곳에서 떠나거나 벗어나지 아니하고 머물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있다'가 쓰인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출처: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좀 이따가, 좀 있다가) | 국립국어원 (korean.go.kr)

 

국립국어원

축소 확대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좀 이따가, 좀 있다가 작성자 김대균 등록일 2014. 4. 7. 조회수 84,649 국립국어원 트위터(@urimal365)의 내용을 보던 중, '좀 이따가'는 수식 관계상 바른 표현이 아니

www.korean.go.kr

 

'이따', '이따가' 를 사용할 때는 '조금' 이라는 단어와 함께 쓸 수 없다는 것이다.
이유는 '조금' 이라는 의미가 중복되기 때문이다.
조금 이따가 (좀 이따가)= 조금 조금 지난 뒤에 (좀 조금 지난 뒤에)

그런데 '좀 있다가 갈게.' (조금 있다가 갈게) 는 문제가 없는 문장인데
그 이유는 동사의 1번 뜻을 사용한 표현이라
(사람이나 동물이 어느 곳에서 떠나거나 벗어나지 아니하고 머물다.) 
'조금' 이라는 의미가 중복되지 않고
그 장소에서 그대로 머물다는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있다' 는 참 많은 역할이 있는 단어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들어가서 '있다' 를 찾아보면
정말 굉장한 단어구나! 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은 '이따'. '있다' 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제는 각각 알맞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