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띄어쓰기] 괜찮아v질거야 VS 괜찮아질v거야, 어떻게 띄어쓸까요?

by 행복한쥬이 2022. 5. 21.
반응형
한국인이지만
정말 띄어쓰기 어렵다.
많이 헷갈린다.
기존에 내가 쓰던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이라고 모른체
계속 써왔던 거라면
새로운 걸 배워도 똑같이
이전에 익숙했던 방식으로 띄어쓰기를 하는
오류를 범한다.
사실 나도 띄어쓰기를 잘 못한다.
기본적인 원칙하에 띄어쓰려고는 하나
과하게 띄어쓰기도 하고, 다시 말하면 띄어쓸 필요가 없는데 띄어쓴다던지
또 띄어써야 하는 경우에 왠지 띄어쓰니 모양이 이상해서
다시 붙인다던지...
설마, 나만 이런 건 아니겠지?

결론: 띄어쓰기는 어렵다.

오늘은 그 어려운 띄어쓰기 중 하나
'괜찮아v질거야' 와 '괜찮아질v거야' 
둘 중 어떻게 띄어쓰는 게 맞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문제

1. 앞으로 괜찮아 질거야.

2. 앞으로 괜찮아질 거야.

문제의 답을 찾아보자!



국립국어원 트위터의 답변을 보니 이렇게 나와 있었다.
'괜찮아질v거야' 로 띄어 써야 한다.
이유는 어간 '괜찮-'에 어미 '-어', 보조용언 '지-'가 오는 경우에는 관행적으로
'괜찮아질'로 붙여 쓰고, 의존명사 '거'는 앞말과 띄어 써야 한다.

답변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번 읽었다.
보조용언 '지-'가 올 경우 관행적으로 '괜찮아질' 로 붙여 쓰고,
의존명사 '거' 는 앞말과 띄어 써야 한다.
그래서
'괜찮아질 거야.' 가 되었다.

그럼 문제를 다시 확인해 보자!

문제

1. 앞으로 괜찮아 질거야. (X)

2. 앞으로 괜찮아질 거야. (O)

 

2번 처럼 '괜찮아질v거야' 하고 띄어 써야 한다.

이렇게 알아보기 전에는

나는

'괜찮아v질거야' 라고 썼던 것 같으며

이게 당연히 옳은 것인 줄 알았다.

읽을 때에도 괜찮아 띄고 질거야 라고 읽었기 때문에

띄고 즉 숨을 잠깐 쉬는 그 부분에서 띄어 쓰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니

잘못 읽고 있었고, 그래서 잘못 띄어 썼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

 

읽을 때에도

[괜찮아질 띄고 거야] 라고 읽어야 하고

그렇게 띄어 써야 한다.

 

이번에 이렇게 확실히 알았으니

다음 번에는 실수하지 않고

제대로 띄어 쓰고 띄어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괜찮아질 v 거야
띄어쓰기 잊지 말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