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70 구구단 익히기 우리 딸은 2학년,지금은 여름방학...2학기에 배울 곱셈 구구단을 위해 미리 준비해야만 한다.딸 이야기로는이미 반 친구들은 곱셈 구구단을 다 알고 있다며...ㅠㅠ방학 동안 구구단을 아이가 배우고 외울 수 있도록 해야하는데...어떻게 해야할 지...라떼는... ㅋ그냥 집 벽에 붙여진 구구단 표 보면서 그냥 열심히 외웠던 것 같은데...ㅠㅠ우리 딸 성향상 그렇게는 절대 못 외울 것 같고... 그렇게 고민하던 중 ㅎㅎ육아 선배님께서 이 책을 추천해주셨다.놀이카드와 교재를 ㅎ 그래서 구매했고 아이와 함께 지금 5일 정도 했는데 아주 만족스럽다. 별거 아닌 거 같은데 하루 공부량을 끝내고 붙이는 스티커에 굉장한 만족감을 느끼고신나는 곱셈 구구 노래와 동수누가와 뛰어세기를 반복하며 구구단을 자연스럽게 외우게 하는 .. 2024. 8. 16. 넘어vs너머, 무엇이 다를까요? 문제1번 산 넘어 누가 살고 있을까?vs2번 산 너머 누가 살고 있을까? 위의 문장에서1번 넘어?2번 너머?둘 중 올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넘어'넘다'의 활용형으로 '경계를 벗어나거나 지나다'의 뜻을 나타냄. ★너머「명사」((높이나 경계를 나타내는 명사 다음에 쓰여))높이나 경계로 가로막은 사물의 저쪽. 또는 그 공간.산 너머.고개 너머.저 너머.뒤뜰 돌담 너머, 붉은 지붕의 건물이 바로 그가 경영하는 모란 유치원이다. ≪박경리, 토지≫들창 너머, 파랗다 못해 보라색을 머금은 하늘이 눈에 싱싱했다. ≪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 2024. 8. 15. 그러므로 vs 그럼으로, 무엇이 다를까요? 문제1번 나는 개학했다. 그러므로 나는 오늘 학교를 가야 한다.vs2번 나는 개학했다. 그럼으로 나는 오늘 학교를 가야 한다. 1번 그러므로?2번 그럼으로?위의 문장에서 사용해야 할 올바른 단어는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그러므로「부사」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의 이유나 원인, 근거가 될 때 쓰는 접속 부사. ≒고로.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인간은 말을 한다. 그러므로 동물과 구별된다.아무 책임도 지지 않겠다. 그러므로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겠다. ≪황석영, 무기의 그늘≫며느리는 시어머니가 걷던 그 길을 다시 되풀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 며느리가 시어머니가 되면 또 똑같은 시집살이를 시키게 마련이다. ≪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마을 안 사람들의 소출을 가늠해 보기도 하는 이날은 그러므로 작.. 2024. 8. 15. 만둣국vs만두국,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내가 만둣국 맛있게 끓여줄게.vs2번 내가 만두국 맛있게 끓여줄게. 1번 만둣국?2번 만두국?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만둣국 「명사」만두를 넣고 끓인 국.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만둣국'[명사][합성어]만두(한자어)+ 국(순 우리말)만두를 넣고 끓인 국.순 우리말과 한자어의 합성어인 '만둣국'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기 때문에[만두꾹] / [만둗꾹]사이시옷 'ㅅ'을 넣어서 표기해야 한다.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문제1번 내가 만둣국 맛있게 끓여줄게. (O)vs2번 내가 만두국 맛있게 끓여줄게. (X) 정답은 1번 내가 만둣국 맛있게 끓여줄게. 이다. 만둣국 (O)만두국 (X.. 2024. 8. 4. 위층vs윗층,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할머니는 우리집 위층에 살고 계신다.vs2번 할머니는 우리집 윗층에 살고 계신다. 1번 위층?2번 윗층?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위층「명사」이 층 또는 여러 층 가운데 위쪽의 층. ≒상층.우리 집 위층에는 신혼부부가 세 들어 살고 있다.위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더 어둡고 삭막했다. ≪이동하, 도시의 늪≫「반대말」 아래층(아래層) > 한 걸음 더‘위층’이 표준어이고 ‘웃층’, ‘윗층’은 비표준어이다. 이는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하되,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로 한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12항)에 따른 것이다.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 2024. 7. 31. 쓰레받기vs쓰레받이,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쓰레받기 좀 청소함에서 갖다줄래?vs2번 쓰레받이 좀 청소함에서 갖다줄래? 1번 쓰레받기?2번 쓰레받이?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쓰레받기「명사」비로 쓴 쓰레기를 받아 내는 기구.보통으로 생긴 직원이 보통 빗자루로 그 모닥불 자국 같은 재와 불기가 있는 뜬숯 같은 걸 보통 쓰레받기에 쓱쓱 쓸어 담기 시작했다. ≪박완서, 그 가을의 사흘 동안≫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쓰레받기'[명사]비로 쓴 쓰레기를 받아 내는 기구.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문제1번 쓰레받기 좀 청소함에서 갖다줄래? (O)vs2번 쓰레받이 좀 청소함에서 갖다줄래? (X) 정답은 1번 쓰레받기 좀 청소함에서 갖다줄래? 이다. 쓰레받기 (O).. 2024. 7. 31. 전기세vs전기 요금,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너희 집 전기세는 얼마나 나와?vs2번 너희 집 전기 요금은 얼마나 나와? 1번 전기세?2번 전기 요금?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 ★전기세 「명사」전기를 사용하고 내는 요금을 세금처럼 여겨 이르는 말.이 집에선 셋방들만 따로 계량기를 달아 주고 전기세도 셋방끼리 자치적으로 할당해서 부담하도록 돼 있었다. ≪박완서, 오만과 몽상≫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샘에서 다시 한번 검색해 보세요. *은 누구든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우리stdict.korean.go.kr '전기세'[명사]전기를 사.. 2024. 7. 21. 틀린 그림 찾기 vs 다른 그림 찾기, 무엇이 옳을까요? 딸이 말했다. "엄마, 틀린 그림 찾기 프린트 좀 해주세요.""응 알았어."라고 말하면서 순간어? 그런데 '틀린그림찾기'가 맞는 표현인가?내가 아는 '틀리다'의 의미라면사실 '틀린 그림 찾기'는 잘못된 표현이고'다른 그림 찾기'가 옳은 표현인 것 같은데...순간 의문이 들었다.그래서 오늘은'틀린 그림 찾기' 와 '다른 그림 찾기'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찾아보니 틀린 그림 찾기는 한 브랜드가 대표 단어가 된 경우라고 한다.원래는 Hidden Catch가 영문 표현인데.영어 자체를번역하면 숨은 그림 찾기가 되는데 이것은 원래 우리나라에 있던 숨은 그림 찾기라는 퍼즐게임이존재하기에 숨은 그림 찾기로 번역하면 잘못된 번역이 되는 것이다.그런데틀린 그림 찾기라는 게임 브랜드가 탄생하면서그 이름 자체가 그 .. 2024. 7. 21. 초죽음vs초주검,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계속된 야근으로 초죽음이 되었다.vs2번 계속된 야근으로 초주검이 되었다. 1번 초죽음?2번 초주검?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오늘은 '초죽음'과 '초주검'에 대해정리해 보려고 한다. ★초죽음 「001」두들겨 맞거나 병이 깊어서 거의 다 죽게 된 상태. 또는 피곤에 지쳐서 꼼짝을 할 수 없게 된 상태. ⇒규범 표기는 ‘초주검’이다. ▶조조가 의심이 많음을 간파한 주유는 그를 완벽하게 속이기 위해 군령을 어겼다는 죄목을 씌워 태형으로 황개를 초죽음에 이르게 한다.≪연합뉴스 1993년 8월≫ ▶ 길목마다 초소를 만들고 4명이 1조로 24시간 비상근무를 하면서 초죽음 상태다.≪대전일보 2011년 1월≫ 출처: 우리말샘 - 내용 보기 (korean.go.kr) '초죽음''초주검'의 비규범표.. 2024. 7. 7. 무지근하다vs묵지근하다, 무엇이 옳을까요? 문제1번 머리가 무지근하니 두통이 시작되는 것 같다.vs2번 머리가 묵지근하니 두통이 시작되는 것 같다. 1번 무지근하다?2번 묵지근하다?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함께 알아보자!★무지근하다「형용사」【…이】「1」 뒤가 잘 안 나와서 기분이 무겁다.아랫배가 무지근하다.「준말」 무직하다「2」 머리가 띵하고 무겁거나 가슴, 팔다리 따위가 무엇에 눌리는 듯이 무겁다.어제 온종일 혼자 큰물이 휩쓸어 버린 둑에서 돌을 들어 올렸더니 팔다리가 무지근하고 허리가 뻑적지근하여 아무 일도 하고 싶지가 않았다. ≪문순태, 타오르는 강≫「준말」 무직하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찾으시는 단어가 없나요? 우리말.. 2024. 7. 7. 집안vs 집 안, 무엇이 다를까요? 문제1번 집안에 사람이 가득하다.vs2번 집 안에 사람이 가득하다. 1번 집안?2번 집 안?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오늘은 '집안'과 '집 안'이 무엇이 다른지 정리해 보려고 한다. ★집안「명사」가족을 구성원으로 하여 살림을 꾸려 나가는 공동체. 또는 가까운 일가. ≒가내.집안 어른.집안 간.집안 걱정.집안 내력.양반 집안.교사 집안.집안이 기울다.집안이 좋다.집안에 경사가 있다.대개는 가장이 집안을 다스린다.그는 다 쓰러져 가는 집안을 다시 일으켰다.아버지가 다치신 후로 집안 분위기가 무겁다.집안을 꾸려 나가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집안 형편이 어려워서 부모님께 돈 이야기를 꺼내기가 힘들다.명절에는 가까운 집안끼리 모인다.그의 배다른 형 시완이 종손의 위함을 받았을 때 그의 집안을 저주하고 그.. 2024. 7. 6. 한입 vs 한 입, 무엇이 다를까요? 문제1번 한입만 먹어도 될까?vs2번 한 입만 먹어도 될까? 1번 한입?2번 한 입? 위의 문제에서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오늘은 한입vs 한 입에 대해 함께 알아보자! ★한입「명사」 「1」 입에 음식물 따위가 가득 찬 상태. 입에 밥이 한입이다.쌈을 한입 가득 넣고 우물거린다.「2」 ((주로 ‘한입에’ 꼴로 쓰여)) 한 번 입을 벌린 상태.환약 스무 알을 한입에 털어 넣었다.뱀이 쥐를 한입에 삼켜 버렸다.냉수 한 잔을 한입에 쭉 들이마셨다.「3」 똑같은 말을 하는 여러 사람의 입.닷 뼘 장죽을 연이어 세우고 그 위에 다시 앵두나무 막대를 연이어 세운 다음 버나를 돌리는 삼동버나로 연희가 이어지자 구경꾼들 입에서는 한입같이 탄성이 터져 나왔다. ≪김주영, 객주≫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 2024. 7. 1. 이전 1 ··· 4 5 6 7 8 9 10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