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교육과 육아

화용언어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를 보며), 사회성 사전

by 행복한쥬이 2021. 8. 8.
반응형

요즘 텔레비전 프로그램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가 방영되고 있다.

육아를 하고 있는 부모님이라면, 아이가 있는 부모님이라면 한번쯤은 보았을 프로그램이다.

 

이 시대의 육아멘토이신 "오은영 박사" 님이 상담자(카운셀러)로 나오신다.
그래서 많은 부모들이 자녀의 문제상황을 이해하거나 또 같은 고민을 통해 위로를 받는
이런 다양한 이유로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일단 서론은 여기까지...

프로그램을 보다가 "화용언어" 를 알게 되었다. 그래서 들었던 "화용언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위키백과에서 "화용언어" 라고 검색하니 나오지 않고 대신에 "화용론" 이 관련 검색어로 나와서 "화용론" 을 알아보았다.

 

화용론

  • 화용론(話用論,Pragmatics 또는 어용론) 은 의사 소통시의 발화에 대한 언어론이다.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언어 사용이 어떻게 바뀌는지, 화자의 의도와 발화의 의미는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연구도 다룬다.
  • 화용론(話用論,Pragmatics)는 언어학에서 '말하는 이, 듣는 이, 시간, 장소 따위로 구성되는 맥락(context)과 관련하여 문장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의미론의 한 분야'를 가리킨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화용론적 입장에서는 사전적 정의의 하나일뿐이며 맥락적인 의미전달을 위한 정보의 구조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언어인류학,신경과학,심리언어학,법언어학등 응용 및 관련범위가 폭넓다. 

<출처: 위키백과 화용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화용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용론(話用論,Pragmatics 또는 어용론) 은 의사 소통시의 발화에 대한 언어론이다.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언어 사용이 어떻게 바뀌는지, 화자의 의도와 발화의 의미는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

ko.wikipedia.org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프로그램에서 오은영 박사님은 화용언어를 이렇게 설명하셨다.

화용언어란? 사회적˙정서적 측면을 포함하는 의사소통에서 맥락을 이해하고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

 

화용언어에 문제가 있으면 발생되는 문제 상황으로는

아이가 닫힌 현관문을 보고 살려달라고 하는 상황, 불편하다고 하는 것을 살려달라고 하는 상황 등을

오은영 박사님께서 화용언어에 문제가 있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이야기하셨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는 아래 사진처럼 "사회성 사전" 을 제시하셨다.

출처: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사회성 사전" 이란? 생활 속에서 자주 일어나는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대응전략 비법 사전,
사회성 발달 (서로를 공감하고 관계를 잘 맺어나가는 것) 을 돕는 해결방법
상황 개념을 알 수 있도록 아이가 그 상황에 대한 방법을 외우는 것, 학습하는 것이다.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라는 프로그램을 보면

부모인 나를 직면하는 것 같아, 사실 볼 때마다 두렵고, 죄책감이 느껴져 어렵기도 한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내 아이의 문제행동이 결코 부모로부터 기인한 것만은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문제상황을 직면하고 해결하려고 나오는 부모들이 정말 용기있다고 생각된다.

 

"육아에는 답이 없다." 정답이다. 나 또한 육아하는 엄마로써, 항상 나 자신을 살피고, 또 때로는 아이들의 문제를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그렇다고 외면하여 지나가지 않도록 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 같다.

 

이 시대의 모든 부모님들! 파이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