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1번 에계, 이것만 주는거야?
VS
2번 애걔, 이것만 주는거야?
1번 에계?
2번 애걔?
둘 중 옳은 표현은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에계
「감탄사」
「1」 뉘우치거나 탄식을 할 때 내는 소리.
- 에계, 이 일을 어찌하지?
「2」 어떤 것이 작고 하찮거나 기대 따위에 훨씬 못 미쳐 업신여길 때 내는 소리.
- 에계, 겨우 요것밖에 안 줘?
- 에계, 이까짓 것을 어디다 쓰라고 그래?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에계'
[우리말]
[감탄사]
1. 뉘우치거나 탄식을 할 때 내는 소리.
2. 어떤 것이 작고 하차낳거나 기대 따위에 훨씬 못 미쳐 업신여길 때 내는 소리.

★애걔
「감탄사」
「1」 뉘우치거나 탄식할 때 아주 가볍게 내는 소리.
- 애걔, 그릇을 깨뜨렸네.
- 애걔, 또 틀렸네.
「2」 대단하지 아니한 것을 보고 업신여기어 내는 소리. ≒애.
- 애걔, 겨우 이거야?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애걔'
[우리말]
[감탄사]
1. 뉘우치거나 탄식할 때 아주 가볍게 내는 소리.
2. 대단하지 아니한 것을 보고 업신여기어 내는 소리. ≒애.
★애
「감탄사」
대단하지 아니한 것을 보고 업신여기어 내는 소리. =애걔.
- 애, 겨우 요거야?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애'
[우리말]
[감탄사]
대단하지 아니한 것을 보고 업신여기어 내는 소리. =애걔.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에계, 이것만 주는거야? (O)
에계(어떤 것이 작고 하찮거나 기대 따위에 훨씬 못 미쳐 업신여길 때 내는 소리.), 이것만 주는거야?
VS
2번 애걔, 이것만 주는거야? (O)
애걔(대단하지 아니한 것을 보고 업신여기어 내는 소리.), 이것만 주는거야?
정답은 둘 다 옳은 표현이다.
에계(O)
애걔(O)
에계, 애걔
말로는 가끔씩 썼던 것 같은데
이 말을 적어본 적은 없어서
표기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순간 헷갈렸다.
그런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니
에계, 애걔 둘 다 옳은 표현이었다.
★'예계'와 '애걔'를 사용해 문장을 만들어 보자!
- 용돈을 기대했는데 에계, 이게 다예요? (예상보다 적어서 실망할 때)
- 그렇게 대단한 것이라고 해서 봤는데 에계, 별거 아니네요.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 한 시간 동안 열심히 만들었는데 에계, 결과물이 이게 뭔가요. (노력에 비해 결과가 좋지 않아 탄식할 때)
- 다 먹었다고 생각했는데 에계, 아직 조금 남았네. (남은 양이 적을 때)
- 애걔, 그릇을 깨뜨렸네. (실수나 잘못에 대해 가볍게 탄식할 때)
- 애걔, 이 문제를 또 틀렸어? (같은 실수를 반복하며 뉘우칠 때)
- 애걔, 겨우 이거 가지고 그렇게 생색을 냈던 거야? (대단하지 않다고 업신여길 때)
- 애걔, 그것 가지고 한 달을 어떻게 사니? (적은 양이나 금액을 보고 업신여길 때)
우연히 책을 읽다가 다시 발견한
'에계'와 '애걔'
이렇게 글자로 적어본 건 처음이라 생김새가 낯설긴 했지만
이제 정확하게 알았으니
필요할 때 적절하게 잘 사용해봐야겠다.
오늘의 정리 끝!
반응형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욱하다, 무슨 뜻일까요? (2) | 2025.06.01 |
---|---|
비쭉비쭉하다, 무슨 뜻일까요? (2) | 2025.05.30 |
널따랗다vs넓다랗다,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5.05.18 |
빨리빨리 vs 빨리 빨리, 무엇이 옳을까요? (3) | 2025.05.16 |
빨랫비누VS빨래비누, 무엇이 옳을까요? (1) | 2025.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