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애들아?
vs
얘들아?
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7.gif)
★아이
「준말」애
「명사」
「1」 나이가 어린 사람. ≒아자.
- 아니, 먹는 것을 가지고 어른이 아이를 울리면 어떻게 해요?
- 놀이터에서는 고만고만한 아이들이 미끄럼을 탄다, 그네를 탄다 하며 떠들고 있었다.
- 팽이치기에 싫증이 난 아이는 땅바닥에 쭈그리고 앉아서 사금파리로 동그라미를 그리고 있었다. ≪박경리, 토지≫
「2」 남에게 자기 자식을 낮추어 이르는 말.
- 우리 아이가 올해 스물이 넘었지만 아직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많이 보살펴 주시기 바랍니다.
「3」 아직 태어나지 않았거나 막 태어난 아기.
- 아이가 들어서다.
- 아이가 태어나다.
- 아이를 낳다.
- 아이를 배다.
- 아이를 임신하다.
- 담요에 싸여 있는 아이는 배냇짓을 하는지 연방 방글방글 웃는다.
「4」 어른이 아닌 제삼자를 예사롭게 이르거나 낮잡아 이르는 말.
- 요즘 젊은 아이들은 왜 그리도 버릇이 없는지 모르겠어요.
- 조수 아이가 무심한 얼굴로 흘깃 뒤를 돌아보았다. ≪한수산, 유민≫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애
「명사」
「1」 ‘아이’의 준말.
- 애를 보다.
- 애가 엄마를 보고 활짝 웃었다.
- 나이는 스무 살이나 먹었지만 하는 짓은 아직도 애야.
「2」 ‘아이’의 준말.
「3」 ‘아이’의 준말.
- 애를 낳다.
- 애를 배다.
「4」 ‘아이’의 준말.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애'
[명사]
'아이'의 준말.
'아이'를 줄였을 때
'애'라고 쓴다.
★얘
‘이 아이’가 줄어든 말.
- 얘가 어디 갔지?
- 얘는 얼굴이 하야니까 감색 옷을 입으면 참 예쁠 거야. ≪김승옥, 환상 수첩≫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얘'
'이 아이'가 줄어든 말.
위의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 애들아?
vs
(2) 얘들아?
정답은 둘 다 상황에 따라 옳다는 것이다.
(1) 애들아?
아이들아~ 라고 해서 어떤 특정한 아이를 지칭하는 게 아니라
'아이'라는 말로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으면
쓸 수 있다.
예를 들면
애들아 보고 싶다.
=아이들아 보고 싶다.
애를 낳다.
=아이를 낳다.
우리 애가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해요.
=우리 아이가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해요.
등으로 사용한다.
(2) 얘들아?
'얘'가 '이 아이'가 줄어든 말이므로,
어떤 특정 지칭되는 아이가 있어야 쓸 수 있다.
예를 들면
얘가 아프다.
=이 아이가 아프다.
얘랑 친하게 지내고 싶다.
=이 아이랑 친하게 지내고 싶다.
얘가 지각했다.
=이 아이가 지각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결국 '애'인지 '얘'인지를 구분하려면
내가 사용하려는 문장에
'아이' 또는 '이 아이'를 넣고 어색한지 아닌지
판단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애들아?
얘들아?
두 상황 모두 가능한 것은
아이들아?
이 아이들아?
모두다 가능하다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상황에 따라서
불특정 다수에게 하는 의미라면
'애들아?'가 맞을 것이고
어떤 아이들을 지칭해서 하는 의미라면
'얘들아?' 가 옳은 것이다.
오늘은 '애' 와 '얘' 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 다 각자 다른 의미가 있으므로
꼭 오늘 정리한 것처럼
'아이' 또는 '이 아이'를 넣어
어색한지 어색하지 않은지 판단하고
사용해야지 ^^
오늘의 정리 끝!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상vs십상, 무엇이 옳을까요? (1) | 2024.01.01 |
---|---|
예부터vs옛부터, 무엇이 옳을까요? (1) | 2023.12.25 |
사사하다vs사사받다,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3.12.16 |
어거지vs억지,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3.12.16 |
푹하다, 무슨 뜻일까요? (2) | 2023.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