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신' [명사] 1.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함. =경신. 2. [법률]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 계약으로 기간을 연장하는 명시적 갱신과 계약 없이도 인정되는 묵시적 갱신이 있다. 3. [정보, 통신] 기존의 내용을 변동된 사실에 따라 변경, 추가, 삭제하는 일.
'경신' [명사] 1.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함. ≒갱신. 2. 기록경기 따위에서, 종전의 기록을 깨뜨림. 3. 어떤 분야의 종전 최고치나 최저치를 깨뜨림.
두 단어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공통점- 1.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함. 이라는 의미에서는 갱신과 경신, 이 두 단어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갱신, 자기 경신 등 자기를 고쳐 새롭게 함에 의미를 가진다고 하면 둘 다 사용가능하다.
2. 한자어가 같다. (둘 다 한자어이다.) 갱신과 경신, 당연히 다른 단어라고 생각했는데, 둘 다 한자어로 이루어졌으며 한자어로는 사실 같은, 하나의 단어이다. 그런데 읽을 때가 다르다. *하나는 갱신 (다시 갱)更新 *하나는 경신 (고칠 경) 更新 공통점이긴 하나 나에게는 의문이기도 하다. 왜 뜻도 같은데 읽는 게 다른거지? 각 단어의 나머지 뜻을 살펴보아도 잘 모르겠다. ^^;; 혹시 아시는 분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T.T
-다른점- 갱신은 아래와 같은 의미에서도 사용한다. 2. [법률]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 계약으로 기간을 연장하는 명시적 갱신과 계약 없이도 인정되는 묵시적 갱신이 있다. 3. [정보, 통신] 기존의 내용을 변동된 사실에 따라 변경, 추가, 삭제하는 일.
경신은 아래와 같은 의미에서도 사용한다. 2. 기록경기 따위에서, 종전의 기록을 깨뜨림. 3. 어떤 분야의 종전 최고치나 최저치를 깨뜨림.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1번 100m 달리기 신기록을 (갱신/경신)했다.
2번 주택임대차보험법 (갱신/경신) 계약에 대해 공부했다.
3번 이번 드라마 시청률이 역대 최고 기록을 (갱신/경신)했다.
4번 이번 주말에 운전면허증 (갱신/경신)을 위해 증명 사진을 찍으러 가야 한다.
1번의 정답은 경신이다.
100m 달리기 신기록을 경신했다.
<기록경기 따위에서, 종전의 기록을 깨뜨림이라는 의미로 사용됐다.>
2번의 정답은 갱신이다.
주택임대차보호법 갱신 계약에 대해 공부했다.
<법률에서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이라는 의미로 사용됐다.>
3번의 정답은 경신이다.
이번 드라마 시청률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어떤 분야의 종전 최고치나 최저치를 깨드림이라는 의미로 사용됐다.>
4번의 정답은 갱신이다.
이번 주말에 운전면허증 갱신을 위해 증명 사진을 찍으러 가야 한다.
<법률에서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이라는 의미로 사용됐다.>
오늘은 '갱신'과 '경신'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처음 알게 된 사실도 많았고 '갱신'과 '경신'이 사실 같은 한자어였다는 사실, 정말 놀랬다. 그런데 왜 각각 다르게 읽게 된 것인지... 궁금하다.
잘 구별해서 사용하고 있는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많이 헷갈리는 단어였다.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뜻도 있지만 명확하게 각각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뜻도 있기에 문맥을 잘 파악해 어떤 단어가 들어가야 옳을지 잘 판단해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