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1번 어따 두고 아직도 못 찾았어?
vs
2번 얻다 두고 아직도 못 찾았어?
1번? 어따?
2번? 얻다?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어따
발음 [어따]
「참고 어휘」아따
「감탄사」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하여 못마땅해서 빈정거릴 때 내는 소리.
- 어따, 잔소리 좀 그만해.
- 어따, 영감님도. 시골 부자가 요새는 더 속이 실합니다.≪한수산, 유민≫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어따'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하여 못마땅해서 빈정거릴 때 내는 소리.\
★얻다2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
- 나는 할머니가 돈을 얻다 감춰 두나를 알고 있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 얼굴만은 얻다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것 같았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얻다2'
'어디에다' 가 줄어든 말.
*얻다1: 거저 주는 것을 받아 가지다.
그럼 앞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어따 두고 아직도 못 찾았어? (X)
vs
2번 얻다 두고 아직도 못 찾았어? (O)
정답은 2번 '얻다 두고 아직도 못 찾았어?' 이다.
'어따' 와 '얻다' 둘 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되는 표준어였지만
문제에 적절한 단어는 바로 '얻다' 였다.
다시 말하면 '어디에다' 를 줄인 말. 바로 '얻다' 이다.
흡사 발음이 [어따] 라고 들리기에 '어따' 라고 써야 하는 것이라고
쉽게 오해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표기는 '얻다' 이다.
관련된 단어로는 '얻다 대고' 가 있다.
'얻다 대고' 라고 써야 하는데 '어따 대고' 라고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어디에다' 를 줄인 말인 '얻다' 를 사용하여
'어디에다 대고' ='얻다 대고' 라고
써야 맞다.
발음대로 '어따 대고' 라고 쓰면 잘못 사용한 것이다.
어따(X)
얻다(O)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하자!
반응형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누이vs누누히,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8.22 |
---|---|
옹글다, 무슨 뜻일까요? (0) | 2022.08.21 |
구렛나루vs구레나룻,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8.20 |
당최vs당체,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8.19 |
우레vs우뢰,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