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번 날씨가 꾸물꾸물하다.
VS
2번 날씨가 끄물끄물하다.
1번? 2번
꾸물꾸물하다? 끄물끄물하다?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끄물끄물하다
「동사」
「1」 날씨가 활짝 개지 않고 몹시 흐려지다. ‘그물그물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 아침부터 하늘이 끄물끄물하더니 마침내 비를 퍼붓기 시작하였다.
「비슷한말」 끄물거리다
「2」 불빛 따위가 밝게 비치지 않고 몹시 침침해지다. ‘그물그물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 끄물끄물하던 불씨가 결국 꺼지고 말았다.
「비슷한말」 끄물거리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끄물끄물하다'
1. 날씨가 활짝 개지 않고 몹시 흐려지다.
'그물그물하다' 보다 센 느낌을 준다.
2. 불빛 따위가 밝게 비치지 않고 몹시 침침해지다.
'그물그물하다' 보다 센 느낌을 준다.
보통 날씨가 흐릴 때
'꾸물' 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꾸물거리네', '꾸물꾸물하네' 등으로 사용했었는데
찾아보니
'꾸물--' 이라는 단어는 잘못된 표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끄물끄물하다와 비슷한 말로는 '끄물끄물', '끄물거리다', '끄물대다' 가 있다.
★끄물끄물
「부사」
「1」 날씨가 활짝 개지 않고 몹시 흐려지는 모양. ‘그물그물’보다 센 느낌을 준다.
- 하늘이 갑자기 끄물끄물 흐려지다.
「2」 불빛 따위가 밝게 비치지 않고 몹시 침침해지는 모양. ‘그물그물’보다 센 느낌을 준다.
- 불빛이 끄물끄물 희미해져 가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어휘, 구성단위, 고유어 여부, 원어, 어원, 주표제어, 부표제어, 발음, 활용, 검색용 이형태, 품사, 공통 문형, 의미 문형, 공통 문법, 의미 문법, 뜻풀이, 용례, 범주, 전문 분야, 속담, 관용구, 대역
stdict.korean.go.kr
★끄물거리다
「동사」
「1」 날씨가 활짝 개지 아니하고 자꾸 흐려지다. ‘그물거리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 우리는 끄물거리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출발을 미루지 않았다.
- 날이 끄물거리더니 빗방울이 하나씩 떨어지기 시작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2」 불빛 따위가 밝게 비치지 아니하고 자꾸 침침해지다. ‘그물거리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 불씨가 끄물거리며 꺼지려 하다.
- 끄물거리는 남폿불 아래에서 숨을 거칠게 쉬고 입을 조금 연 채 모로 누워 있는 수영의 얼굴을 한참이나 내려다보았다.≪심훈, 영원의 미소≫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끄물대다
「동사」
「1」 날씨가 활짝 개지 아니하고 자꾸 흐려지다. ‘그물대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비슷한말」 끄물거리다
「2」 불빛 따위가 밝게 비치지 아니하고 자꾸 침침해지다. ‘그물대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비슷한말」 끄물거리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이 낱말들의 검색 결과를 보면
'그물그물', '그물거리다', '그물대다', '그물그물하다' 의 단어가 나온다.
예전에도 정리한 적이 있지만
거센 발음을 통해 조금더 센 느낌을 주는 단어에 해당하는 것이
'끄물-----'이다.
그러므로
'그물----' 로 시작하는 단어를 보고 틀렸다고
오해하는 일이
없어야겠다.
앞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날씨가 꾸물꾸물하다. (X)
VS
2번 날씨가 끄물끄물하다. (O)
정답은 바로 2번 날씨가 끄물끄물하다.
꾸물꾸물하다 (X)
끄물끄물하다 (O)
그리고 하나 더
그물그물하다(O)
잊지 말고 바르게 사용하자!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퉁기다vs튕기다, 무엇이 다를까요? (0) | 2022.07.25 |
---|---|
헷갈리다vs햇갈리다vs헛갈리다,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7.17 |
추스르다VS추스리다,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7.17 |
체vs채,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7.17 |
짝짜꿍vs짝짝꿍,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2.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