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새로운 말 알기(뜻을 알지 못하는 낱말 알아보기)

The third culture kid (들어본 적 있나요?)

by 행복한쥬이 2021. 8. 9.
반응형

영어공부를 하다가 문제로 제시된 지문에 "The third culture kid" 가 나와 있다.

 

내용을 읽어보니 아이가 어렸을 때 태어나던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로 이주하면서
그 나라의 언어를 배우고, 문화를 이해하게 되는 내용이었다.
"The third culture kid" 는 그 아이를 의미하는 것 같았다. 

 

Third culture kid 

  • Third culture kids (TCK) or third culture individuals (TCI) are people who were raised in a culture other than their parents' or the culture of their country of nationality, and also live in a different environment during a significant part of their child development years.[1] They typically are exposed to a greater volume and variety of cultural influences than those who grow up in one particular cultural setting. [2] The term applies to both adults and children, as the term "kid" refers to the individual's formative or developmental years. However, for clarification, sometimes the term adult third culture kid (ATCK) is used.
  • TCKs move between cultures before they have had the opportunity to fully develop their personal and cultural identity.[3] The first culture of such individuals refers to the culture of the country from which the parents originated, the second culture refers to the culture in which the family currently resides, and the third culture refers to the amalgamation of these two cultures.[4][5][6]
  • In the early 21st century, the number of bilingual children in the world was about the same as the number of monolingual children.[7] TCKs are often exposed to a second (or third, fourth, etc.) language while living in their host culture, being physically exposed to the environment where the native language is used in practical aspects of life. "TCKs learn some languages in schools abroad and some in their homes or in the marketplaces of a foreign land. ... Some pick up languages from the nannies in the home or from playmates in the neighborhood".[8] This language immersion is why TCKs are often bilingual, and sometimes even multilingual.[1]
 

Third culture kid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Individuals who are raised in a culture other than their parents' culture Third culture kids (TCK) or third culture individuals (TCI) are people who were raised in a culture other than

en.wikipedia.org

출처: 위키피디아

 

 

 

출처: 네이버 파파고 번역기 Papago (naver.com)

 

네이버 파파고

번역을 부탁해 파파고

papago.naver.com

 

제3문화어린이(TCK) 또는 제3문화개인(TCI)은 부모의 문화나 국적의 문화가 아닌 다른 문화에서 자란 사람들이며, 자녀 발달연도의 상당 부분 동안 다른 환경에서 생활하기도 한다.[1] 이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문화 환경에서 자라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양과 다양한 문화적 영향에 노출된다. [2] 이 용어는 성인과 아동 모두에게 적용되며, "어린이"라는 용어는 개인의 형성 또는 발달연도를 의미한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성인 제3문화 어린이(ATCK)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TCKs는 그들의 개인적, 문화적 정체성을 완전히 발전시킬 기회를 갖기 전에 문화 사이를 이동한다.[3] 그러한 개인의 첫 번째 문화는 부모가 생겨난 나라의 문화를, 두 번째 문화는 가족이 현재 거주하는 문화를, 세 번째 문화는 이 두 문화의 융합을 의미한다.[4][5][6]

21세기 초, 전 세계 이중언어 아동의 수는 단일언어 아동의 수와 거의 같았다.[7] TCK는 호스트 문화에서 생활하는 동안 제2언어(또는 제3언어, 제4언어 등)에 노출되어 모국어가 삶의 실제적 측면에서 사용되는 환경에 물리적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TCK는 해외 학교와 자택 또는 외국 시장에서 일부 언어를 배운다. 어떤 사람들은 집안의 유모나 이웃의 놀이친구들로부터 언어를 습득합니다."[8] 이러한 언어 몰입이 TCK가 종종 2개 국어를 구사하고 때로는 다국어를 구사하는 이유입니다.[1]

 

 

Benefits[edit]

  • Expanded worldview: TCKs have an understanding that there is more than one way to look at situations that they are exposed to or experience. This can also be a challenge however, when TCKs return to a culture that is homogenous in their belief system, as an expanded worldview is perceived as offensive or useless.[1][3][5]
  • Third-dimensional view of the world: With an increased number of hands-on experiences in multiple cultur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y that the world is perceived. For exampl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ross-cultural authors, such as Khaled Hosseini, author of The Kite Runner, who have received awards for their works that are written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se authors are able to provide vivid descriptions about the cultures they have directly experienced and thus their work appears to be "three-dimensional."[1]
  • Interpersonal sensitivity: Increased exposure to a variety of perceptions and lifestyles allow TCKs to monitor their emotions, and register societal norms and cues more adeptly so as to produce higher sensitivity to other cultures and ways of life.[5]
  • Cross-cultural competence or cultural intelligence: the capacity to function effectively across national, ethnic, and organizational cultures.
  • TCK have been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general adjustment as opposed to mono cultural children.[16] Cultural adaptability is also a benefit, although may also come as a challenge which results from lack of cultural balance.[17]
  • The major benefit is related to language exposure, according to Tracy Tokuhama-Espinosa.[18]

Challenges[edit]

  • Confused loyalties: Third culture kids can experience a lot of confusion with politics and values. This is especially the case when moving from collectivist to individualist cultures, or vice versa, as the values within each culture are different from the other.[1] This issue is also related with the identity crisis, on a cultural level, not being able to feel a sense of oneness with any one nationality or culture. Oftentimes, TCKs cannot answer the question: "Where is home?"[17]
  • Painful awareness of reality: difficulty adjusting to cultures where the only culture that is discussed or focused on is itself.[1]
  • Ignorance of home culture: TCKs are often lacking in knowledge about their home nation, culture, town, and/or family. With current technology leading to the globalization of information, this is becoming increasingly less of a challenge provided the TCKs use modern technology in their host cultures to connect to their home culture. Understanding a culture's sense of humor, however, is a commonly cited difficulty with the transition back to a home culture. There are also general societal norms and practices that will not be known when a TCK is first re-introduced to his/her home culture but those are eventually learned.[1]
  • Difficulties with adjusting to adult life: the mixture of influences from the various cultures that the individual has lived can create challenges in developing an identity as well as with a sense of belonging. Feelings of rootlessness and restlessness can make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 challenging period for TCKs.[19]
  • "American ATCK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rejudice than non-American ATCKs on the Cognitive subscale of the QDI and the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cale (SDO)."[20]
  • There is a need for special attention of young TCK in educational settings to make sure they are supported when and if entering a new school. This would allow for an optimal learning experience for the child.[21]
  • "Walters and Auton-Cuff (2009) found that female TCKs hesitate to develop relationships and have less emotional affect as compared to non-TCKs. Furthermore, female TCKs' identity development was delayed because of their focus on adjusting rather than creating a sense of belonging (Walters & Auton-Cuff, 2009)."[15]
 

Third culture kid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Individuals who are raised in a culture other than their parents' culture Third culture kids (TCK) or third culture individuals (TCI) are people who were raised in a culture other than

en.wikipedia.org

출처: 위키피디아

 

혜택들
확장된 세계관: TCK는 자신이 노출되거나 경험하는 상황을 보는 방법이 두 가지 이상이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그러나 TCK가 확장된 세계관이 공격적이거나 쓸모 없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그들의 신념 체계에서 동질적인 문화로 되돌아갈 때 이것은 도전이 될 수 있다.[1][3][5]
3차원의 세계관: 여러 문화권에서 체험이 늘어나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카이트 러너의 작가 칼레드 호세이니와 같이 다문화적 관점에서 쓴 작품들로 상을 받은 작가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 작가들은 그들이 직접 경험한 문화에 대한 생생한 묘사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그들의 작품은 "3차원적"인 것처럼 보인다."[1]
대인 감도: 다양한 인식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면 TCK는 자신의 감정을 모니터링하고, 사회적 규범과 신호를 보다 능숙하게 등록하여 다른 문화와 삶의 방식에 대한 높은 민감도를 생산할 수 있다.[5]
교차 문화 역량 또는 문화 인텔리전스: 국가, 민족 및 조직 문화 전반에 걸쳐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역량.
TCK는 단성아동보다 일반적인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6] 문화적 적응성 또한 장점이지만, 문화적 균형의 결여로 인한 도전으로 나타날 수 있다.[17]
트레이시 토쿠하마 에스피노사에 따르면 주요 이점은 언어 노출과 관련이 있다.[18]

 

과제들
혼동되는 로열티: 제3의 문화 어린이들은 정치와 가치관으로 인해 많은 혼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집단주의 문화에서 개인주의 문화로, 혹은 그 반대의 문화에서 각 문화 내부의 가치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러하다.[1] 이 문제는 문화적 차원에서도 하나의 국적이나 문화를 가진 일체감을 느끼지 못하는 정체성 위기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TCK는 "집이 어디냐"는 질문에 대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7]
현실에 대한 고통스러운 인식: 논의되거나 집중되는 유일한 문화가 있는 문화에 적응하는 어려움.[1]
가정 문화에 대한 무지: TCK는 종종 고국, 문화, 마을 및/또는 가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현재의 기술이 정보의 세계화를 이끌고 있는 상황에서 TCK가 호스트 문화에서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가정 문화에 연결한다면 이는 점점 더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 문화의 유머감각을 이해하는 것은 가정 문화로의 전환과 함께 흔히 인용되는 어려움이다. TCK가 가정 문화에 처음 재도입되면 알 수 없는 일반적인 사회 규범과 관행도 있지만 결국 알게 된다.[1]
성인 생활에 적응하는 어려움: 개인이 살아온 다양한 문화의 영향들이 뒤섞여 있으면 소속감과 더불어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뿌리 없는 감정과 불안감은 TCK들에게 성인기로의 전환을 힘든 시기로 만들 수 있다.[19]
"미국 ATCKs는 QDI의 인지 서브스케일과 SDO(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cale)에 대해 미국인이 아닌 ATCK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편견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20]
새로운 학교에 입학할 때와 입학할 때 지원받을 수 있도록 교육 환경에서 어린 TCK의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것은 아이에게 최적의 학습 경험을 제공할 것입니다.[21]
"월터스와 오토커프(2009)는 TCK가 아닌 다른 TCK에 비해 여성 TCK가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주저하고 정서적인 영향을 덜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더욱이, 여성 TCKs의 정체성 발달은 소속감을 만드는 것보다 적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지연되었다(Walters & Auton-Cuff, 2009)."[15]

출처: 네이버 파파고 번역기 Papago (naver.com

 

네이버 파파고

번역을 부탁해 파파고

papago.naver.com

 

What Is a 'Third-Culture Kid'? | Merriam-Webster

 

What Is a 'Third-Culture Kid'?

For some kids, cultural identity is a whole new world

www.merriam-webster.com

 

As advances in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make global connection easier, more cultures are intersecting than ever before. And when culture changes, language tends to follow. One related term being seen with increasing frequency is third-culture kid, i.e. a child who grows up in a culture different from the one in which his or her parents grew up.

The "third culture" is influenced both by their parents' culture and the culture in which they are raised.


Third-culture kid attracted notice in recent years as one member of that category rose to particular prominence. Having been born in Hawaii and spent a formative part of his childhood in Indonesia as the son of an American mother and a Kenyan father, former U.S. President Barack Obama qualifies as perhaps the world’s highest-profile third-culture kid.

 

The term may still be a long way from popular use, but as global communities continue to cross paths it might just stick around for a while.

 

 

참고하면 좋을 블로그 안내합니다.

Third Culture Kids (제3문화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Third Culture Kids (제3문화 아이들)

Third Culture Kid (TCK) 제3문화 아이들 A child who accompanies parents into another culture, ...

blog.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