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번 나는 개학했다. 그러므로 나는 오늘 학교를 가야 한다.
vs
2번 나는 개학했다. 그럼으로 나는 오늘 학교를 가야 한다.
1번 그러므로?
2번 그럼으로?
위의 문장에서 사용해야 할 올바른 단어는 무엇일까?
함께 알아보자!
★그러므로
「부사」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의 이유나 원인, 근거가 될 때 쓰는 접속 부사. ≒고로.
-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 인간은 말을 한다. 그러므로 동물과 구별된다.
- 아무 책임도 지지 않겠다. 그러므로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겠다. ≪황석영, 무기의 그늘≫
- 며느리는 시어머니가 걷던 그 길을 다시 되풀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 며느리가 시어머니가 되면 또 똑같은 시집살이를 시키게 마련이다. ≪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 마을 안 사람들의 소출을 가늠해 보기도 하는 이날은 그러므로 작은 잔치가 되게 마련이었다. ≪한수산, 유민≫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그러므로'
[부사]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의 이유나 원인, 근거가 될 때 쓰는 접속 부사.
≒고로.
「비슷한말」 그래서, 따라서
★그럼으로
'그렇게 하다'의 준말인 '그러다'라는 동사에 명사형 어미 'ㅁ'을 붙여서 명사처럼 만든 것으로 앞의 내용이 뒤의 결과를 위한 도구나 수단이 된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위의 내용을 잘 이해했으면 쉽게 문제를 해결했으리라 믿는다. ^^)
문제
1번 나는 개학했다. 그러므로 나는 오늘 학교를 가야 한다. (O)
vs
2번 나는 개학했다. 그럼으로 나는 오늘 학교를 가야 한다. (X)
정답은 1번 나는 개학했다. 그러므로 나는 오늘 학교를 가야 한다.
이유는 '그러므로'는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내가 개학을 했기 때문에 오늘 학교를 가야 한다. 라는 문장으로 자연스럽게 해석될 수 있다.
2번은 나는 개학했다. 개학한 것이 도구나 수단이 되어 학교를 가야 한다는
자연스럽지 않은 문장이 되므로 잘못된 것이다.
그럼 다시 한 번 정리해 보자!
그러므로 | 그럼으로 |
원인과 결과 관계 | 도구나 수단을 나타냄 |
x | -(으)로써 |
☆참고
>한 걸음 더
·‘그러므로’는 ‘그럼으로(써)’와 구별하여 적어야 한다. ‘그러므로’는 접속 부사로서 ‘그러니까’의 뜻을 나타내며, ‘그는 봉사하는 삶을 산다. 그러므로 존경을 받는다.’와 같이 쓴다. ‘그럼으로(써)’는 ‘그러다’의 명사형 ‘그럼’에 ‘으로(써)’가 결합한 말로 ‘그렇게 하는 것으로(써)’의 뜻을 나타내며, ‘그는 남을 돕는 일에 앞장선다. 그럼으로써 삶의 보람을 느낀다.’와 같이 쓴다. ‘그러므로’에는 ‘써’가 결합할 수 없으며, ‘그럼’에는 ‘으로서’가 결합하지 않는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그러므로'와 '그럼으로'를 잘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기를!
오늘의 정리 끝 ^^
'일상생활 > 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타도어, 무슨 뜻일까요? (0) | 2024.08.20 |
---|---|
넘어vs너머, 무엇이 다를까요? (0) | 2024.08.15 |
만둣국vs만두국, 무엇이 옳을까요? (3) | 2024.08.04 |
위층vs윗층,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4.07.31 |
쓰레받기vs쓰레받이, 무엇이 옳을까요? (0) | 2024.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