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우리가 사용하는 말 바로 알기

껍질vs껍데기, 어떻게 다를까요?

by 행복한쥬이 2022. 9. 12.
반응형

문제

1번 달걀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 입니까?

vs

2번 달걀 껍데기는 음식물 쓰레기 입니까?

 

1번? 껍질?

2번? 껍데기?

무엇이 옳은 표현일까?

함께 알아보자!



★껍질

발음[껍찔]

 

「명사」

「1」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하지 않은 물질.

  • 귤의 껍질을 까다.
  • 양파의 껍질을 벗기다.
  • 이 사과는 껍질이 너무 두껍다.
  • 늙은 호박은 겉껍질이 단단해서 우선 숟갈로 껍질을 박박 긁어 버린다.≪홍성원, 육이오≫
  • 내 손바닥은 껍질이 벗겨져 피가 말라붙어 있었고….≪황석영, 입석 부근≫

「2」 화투에서, 끗수가 없는 패짝. =껍데기.

「3」 『물리』 원자 구조를 나타내는 모델에서, 원자핵 주변의 거의 같은 에너지를 가지는 전자 궤도의 모임. 원자핵에 가까우며 에너지가 낮은 쪽에서부터 ‘케이(K) 껍질, 엘(L) 껍질, 엠(M) 껍질, 엔(N) 껍질……’이라고 하며, 각각 복수의 전자 궤도에 의한 층상(層狀)의 구조를 만들고 있다. =전자껍질.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껍질' 
1.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하지 않은 물질.
2. 화투에서, 끗수가 없는 패짝.=껍데기.
3. 원자 구조를 나타내는 모델에서, 원자핵 주변의 거의 같은 에너지를 가지는 전자 궤도의 모임.=전자껍질

참고 어휘로
'깝질' 이 나왔다.
* 깝질: 「명사」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조금 질긴 물질의 켜.


'깝질' 을 이번 기회로 알지 못했다면
'껍질' 의 사투리로 오해했을 것 같다 ㅜㅜ
'깝질' 은 엄연히 표준어라는 사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search/popup/wordLink.doword_no=400620&hist_seq=1&sense_no=0&sp_seq=-1&sent_ptrn_seq=-1


★껍데기

발음[껍떼기]

 

「명사」

「1」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 ≒.

  • 달걀 껍데기를 깨뜨리다.
  • 나는 굴 껍데기가 닥지닥지 달라붙은 바위를 짚고 내렸다.≪심훈, 칠월의 바다≫

「2」 알맹이를 빼내고 겉에 남은 물건.

  • 이불의 껍데기를 갈다.
  • 베개 껍데기를 벗겼다.
  • 속에 든 과자는 다 먹고 껍데기만 남았다.

「3」 화투에서, 끗수가 없는 패짝. ≒껍질, .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껍데기' 
1.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 ≒각.
2. 알맹이를 빼내고 겉에 남은 물건.
3. 화투에서, 끗수가 없는 패짝. ≒껍질, 피.

1번의 뜻에서 '각' 이라는 단어와 비슷하다고 설명되어 있어 찾아 보았다.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명사」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 =껍데기.


그런데 여기서 놀랬던 것은 '껍데기' 와 비슷한 단어로 한자어 '각' 소개되었는데,
한자 '각' 은 껍질 '각' 이었다.
그래서 예전에는 '껍질', '껍데기' 를 구분하지 않고 편하게 사용했던 건가? 궁금해졌다.
뜻도 대부분 비슷하여 꼭 형제 단어처럼 생긴 '껍질' 과 '껍데기' 
과거에는 어떻게 사용했을지 궁금해졌다.

앞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달걀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 입니까? (X)

vs

2번 달걀 껍데기는 음식물 쓰레기 입니까? (O)

 

정답은 바로 2번 '껍데기', '달걀 껍데기' 이다.

 

'껍데기' 는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달걀은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겉을 이르는 말로 '달걀 껍데기' 를 써야하는 것이 맞다.

다시 정리하면

'껍질' 은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

'껍데기' 는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을 의미함.

 

그럼 여기서 문제

 

사과 껍질?

사과 껍데기?

정답은 바로 '사과 껍질' 

 

굴 껍질?

굴 껍데기?

정답은 바로 '굴 껍데기'

 

귤 껍질?

귤 껍데기?

정답은 바로 '귤 껍데기'

 

예를 들어 설명했으니 좀 더 이해하기가 쉬웠으리라 생각된다.

 

'껍질' 과 '껍데기' 는 각각 비슷한 뜻도 있었지만
명확하게 구분해서 써야 하는 다른 뜻도 있었다.
찾으면서 가장 의아했던 것은 위에도 적었지만
'껍데기' 와 비슷한 말이라고 적힌 '각' 이
한자어 '껍질 각' 이라는 사실이었다.

'껍질' 과 '껍데기' 를 과거에는 구분하지 않았는지 등의 내용이 궁금해졌다.

오늘은 '껍질' 과 '껍데기' 두 단어가
어떤 차이점이 있고
공통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제는 헷갈리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