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맞다' 가 [동사] 가 아니라 [형용사] 라는 것이 중요하다. '알맞다' 가 알맞는? 알맞은? 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알맞다' 가 [동사] 인지 [형용사] 인지 구분해야 한다.
[동사] 와 [형용사] 의 구분이 헷갈린다면 '현재형 시제' 를 넣어 구분할 수 있다.
동사는 현재를 표현할 때 '-는-' 을 쓰고 형용사는 현재를 표현할 때 기본형을 쓴다.
예시) 상황에 알맞는다 (X) 상황에 알맞다 (O)
그러므로 '알맞다' 는 [동사]가 아니라 [형용사]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앞에서 나온 문제를 해결해 보자!
문제
1번알맞는답을 고르시오. (X)
VS
2번알맞은답을 고르시오. (O)
정답은 바로 2번 알맞은 답을 고르시오. '알맞은' 이 정답이다.
그럼 문제를 더 내봐야겠다.
1번 나한테 걸맞는 옷 좀 골라줘.
VS
2번 나한테 걸맞은 옷 좀 골라줘.
정답을 찾아보자. 걸맞는, 걸맞은의 기본형은 '걸맞다' 일 것이다. 그럼 '걸맞다' 가 [동사] 인지 [형용사] 인지 구분해 보자. [동사] 라면 '걸맞는다' 가 자연스러울 것이고 [형용사] 라면 '걸맞다' 가 자연스럽다. 누가봐도 '걸맞다' 가 자연스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걸맞다' 는 [형용사] 결국 '걸맞은' 이 옳은 표현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래서
1번 나한테 걸맞는 옷 좀 골라줘. (X) VS 2번 나한테 걸맞은 옷 좀 골라줘. (O)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