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55 그린터널 활용-모바일(안드로이드) 와이파이편- 1. 기종 갤럭시 S10e, 소프트웨어 안드로이드 버전 10에서 작성했습니다. 모바일에서 그린터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와이파이 상태, LTE 상태에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단 와이파이 상태에서 그린터널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할게요. 모바일 어플창에서 설정 클릭! 2. 설정창을 클릭하면 다양한 설정메뉴가 나옵니다. 연결 메뉴를 클릭! 3. 이번편은 와이파이 버전에서 그린터널 활용편이니 Wi-Fi 메뉴를 클릭! 4. 와이파이 설정창에 들어가면 지금 연결하고 있는 와이파이가 보입니다. 연결된 와이파이 옆에 톱니바퀴를 클릭! 5. 톱니바퀴를 클릭하면 와이파이 연결정보가 나옵니다. 맨 아래 보면 고급 클릭! 6. 마지막입니다. 프록시를 수동으로 바꾸고 프록시 호스트 이름에 localhost .. 2020. 2. 12. 그린터널 활용-윈도우편- 1. 그린터널을 설치한 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 일단 윈도우편부터 해보자 2.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창을 켠 다음 오른쪽 상단에 보면 톱니바퀴 모양을 클릭-인터넷 옵션 클릭 3. 상단 메뉴에서 연결 클릭- LAN 설정 클릭 4. 사용자 LAN에 프록시 서버 사용 클릭-주소에는 로컬호스트 또는 DDNS 주소를 넣고 포트는 그린터널 설치시 자기 설정한 포트를 넣고 확인누른다. 끝. 평상시 토렌트 사이트 등 차단 사이트 접속이 가능해진다. 유용하게 쓰기를. 그리고 DDNS를 사용할 경우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아직 외부에서는 프록시 서버 설정을 해보진 않았지만 가능할 것이다. 2020. 2. 12. 그린터널(Green-tunnel) 설치 나스 시놀로지에 그린터널 설치하기 1. 시놀로지 접속-도커 창 열기- 레지스트리 클릭- 검색창에 greentunnel를 검색하여 noname09/greentunnel-docker 선택- 더블클릭 2. 왼쪽 메뉴에서 이미지를 클릭하면 레지스트리에서 검색하여 다운로드한 greentunnel가 보인다. greentunnel를 더블클릭 3. 더블클릭을하면 컨테이너 설정창이 나온다. 고급설정을 누른다. 4. 메뉴 중 고급설정에 들어가서 자동 재시작 활성화 클릭, 포트설정에서는 컨테이너 포트 8000은 그대로 놔두고 로컬포트만 수정하여 적용을 누른다. 로컬포트는 자기 맘대로 설정해도 된다. 설치 끝. 2020. 2. 12. 이전 1 ··· 69 70 71 7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