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애먼VS엄한, 무엇이 옳을까요?

by 행복한쥬이 2023. 6. 11.
반응형

문제

1번 애먼 사람 잡지 마라.

VS

2번 엄한 사람 잡지 마라. 

 

1번 애먼?

2번 엄한?

둘 중 어떤 표현이 옳은 것일까?

함께 알아보자!



★애먼

「관형사」

「1」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억울하게 느껴지는.

  • 애먼 사람에게 누명을 씌우다.
  • 애먼 징역을 살다.
  • 정작 죄지은 놈들은 도망친 다음이라 애먼 사람들이 얻어맞고 나동그라졌다.≪송기숙, 암태도≫

「2」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엉뚱하게 느껴지는.

  • 애먼 짓 하지 마라.
  • 해야 할 일은 제쳐 놓고 애먼 일을 붙들고 있다.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애먼'
[관형사]
1.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억울하게 느껴지는
2.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엉뚱하게 느껴지는

위에서 나온 문제의 정답을 확인해 보자!

문제

1번 애먼 사람 잡지 마라. (O)

VS

2번 엄한 사람 잡지 마라. (X)

 

정답은 1번 애먼 사람 잡지 마라. 이다.

이 문장에서는 '애먼' 이 의미상 옳은 표현이다.


 

사실 이렇게 찾아보기 전에는
'애먼' 이 사투리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관형사였다니...
정말 많이 놀랬다.

'엄한' 은 '엄하다' 에서 나온 단어
또는
'엄한' 이라고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하면
매우 심한 추위라는 명사가 나온다.

★엄하다

「형용사」

「1」 규율이나 규칙을 적용하거나 예절을 가르치는 것이 매우 철저하고 바르다. ≒엄려하다.

  • 군대는 계급의 상하 구별이 엄하다.
  • 그 집은 예의범절이 엄해서 아이들이 얌전하다.
  • 그 학교는 학칙이 엄하다는 소문이 자자했다.
  • 청백리로 소문난 집안이어서 그런지 가풍이 엄하고 딱딱한 느낌을 받았습니다.≪박경리, 토지≫

「2」 어떤 일이나 행동이 잘못되지 아니하도록 주의가 철저하다.

  • 다시는 싸움을 하지 말라고 아이들에게 엄하게 일러두어라.
  • 수상한 사람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라는 상부의 엄한 지시입니다.
  • 내금위에게 영을 내리어 내전 경호를 엄하게 하라고 일러라.≪박종화, 다정불심≫

「3」 성격이나 행동이 철저하고 까다롭다. ≒엄려하다.

  • 학생에게 엄한 선생님.
  • 사람이 매사에 너무 엄하면 사람들이 잘 따르지 않는 법이다.
  • 성정이 속으로 강직하면서도 거죽으로 부드럽고, 기상이 엄하고 씩씩하면서도 화한 가운데 사람을 사랑할 줄을 알았다.≪박종화, 임진왜란≫

출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애먼' 과 비슷하게 헷갈리는 단어가
'엄한' 도 있지만
'어먼', '어만' 도 있다.

국립국어원 우리말샘에서 찾아본 결과
'애먼' 의 경상도 방언이 '어먼' 이고
'애먼' 의 경상북도 방언이 '어만' 이라고 나와 있었다.


애먼 (O)
엄한 (X)
어먼 (X)
어만 (X)


이렇게 정리하지 않았다면
계속 '애먼' 이 사투리인줄 알고
또는 정확한 표기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채
잘못되지 않은 걸
잘못된 단어로 알고 있었을 것이다.

이렇게 우리가 사용하는 말이라도
정말 매번 공부하지 않으면
정확하게 알기란 어려운 것 같다. ^^

그럼 오늘의 정리 끝!

반응형

댓글